정의
Pyrvinium, Viprynium
피르비늄(Pyrvinium, Viprynium)은 1955년 FDA 승인을 받은 항기생충제로, 퀴놀린 유도체인 시아닌 염료 계열에 속합니다. 원래는 요충(핀웜, Enterobius vermicularis) 감염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70년 이상 안전하게 사용되어온 약물입니다.
화학적으로는 6-(디메틸아미노)-2-[2-(2,5-디메틸-1-페닐피롤-3-일)에테닐]-1-메틸퀴놀리늄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염 형태로 제조 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는 피르비늄 파모에이트(Pyrvinium pamoate)입니다.
최근 약물 재창출(Drug repurposing) 연구를 통해 강력한 항암 효과가 발견되어, 새로운 암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효능 및 작용 기전
기존 항기생충 효과
피르비늄은 요충의 글루코스 흡수를 차단하여 기생충을 박멸합니다. 또한 크립토스포리디움(Cryptosporidium parvum)에 대해서도 강력한 효과를 보이며, IC₅₀가 3nM로 매우 낮습니다.
항암 효과
피르비늄의 다중 작용 기전과 각 기전별 효과 강도 피르비늄은 다중 작용 기전을 통해 강력한 항암 효과를 나타냅니다:
주요 작용 기전
- 미토콘드리아 기능 억제: 호흡 복합체 I을 억제하여 암세포의 에너지 생산을 차단합니다
- Wnt 신호전달 억제: Casein kinase 1α를 활성화하여 β-catenin을 분해시킵니다
- AKT 경로 억제: AKT, mTOR, GSK3β 등 주요 생존 신호를 차단합니다
- 암줄기세포 표적: CD133⁺, CD166⁺ 등 암줄기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합니다
암 종류별 효과
연구 결과 다양한 암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입니다:
- 대장암: HCT116 세포에서 IC₅₀ 75nM
- 췌장암: PDAC 세포에서 200nM 이하의 강력한 효과
- 유방암: 특히 삼중음성유방암에서 암줄기세포 억제 효과
- 위전암병변: 이형성 줄기세포를 표적하여 정상 점막 재생 촉진
- 메르켈세포암: 신경내분비암의 성장 억제 및 역전
위암 예방 효과 최근 연구에서 피르비늄이 위 전암병변을 정상 점막으로 되돌리는 획기적인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MEK/ERK와 STAT3 경로를 동시에 차단하여 이루어집니다.
복용대상
현재 승인된 적응증
- 요충(핀웜) 감염: 성인과 소아 모두에서 사용 가능
- 기타 기생충 감염: 분선충증 등
연구 중인 적응증
피르비늄의 항암제로서의 임상시험 진행 상황 현재 Phase I/II 임상시험**이 진행 중인 분야:
- 췌장관선암 (PDAC): 수술 전 치료로 Phase I 진행 중
- 위 전암병변: 장상피화생과 이형성 역전을 위한 Phase II 연구
- 다양한 고형암: 유방암, 대장암, 메르켈세포암 등 전임상 연구 활발
특별 고려사항
- 재흡수율이 매우 낮음: 경구 투여 시 90%가 분변으로 배출되어 전신 부작용이 적습니다
- 장기 안전성: 70년간의 사용 경험으로 안전성이 입증되었습니다
부작용
흔한 부작용 (경미함)
- 위장관 증상 (15%): 오심, 구토, 복통
- 설사 (12%): 일시적, 가역적
- 복부 경련 (10%): 경미한 정도
- 두통 (8%): 드물게 발생
특이한 부작용
- 대변 적색 변화 (100%): 약물 색소에 의한 무해한 현상
- 일광과민성 (3%): 1-2일간 지속, 자외선 차단 필요
- 피부 발진 (5%): 드물며 가역적
중대한 부작용
- 과민반응: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알레르기 반응
- 고용량 시 독성: 12.5mg/kg 이상에서 독성 증상 가능
안전성 특징
- 전신 흡수 미미: 위장관에서 거의 흡수되지 않아 전신 독성 적음
- 장기 사용 경험: 70년간의 안전한 사용 기록
- 가역적 부작용: 대부분의 부작용이 일시적이고 가역적
용법
요충 치료 (기존 적응증)
- 표준 용량: 5mg/kg (최대 350mg), 단회 투여
- 재투여: 2-3주 후 1회 더 투여하여 완전 박멸
- 복용법: 음식과 함께 또는 관계없이 복용 가능
항암 연구 용량
진행 중인 임상 시험에서의 용량:
- Phase I 췌장암 연구: 5mg/kg에서 시작하여 최대 20mg/kg까지 단계적 증량
- 위전암병변 연구: 2mg/kg/일, 14일간 연속 투여
- 안전 용량 한계: 인간에서 35mg/kg까지 안전하게 사용된 기록 있음
복용 시 주의사항
- 일광 노출 주의: 복용 후 1-2일간 직사광선 피해야 함
- 대변 적색화: 약물 색소로 인한 정상 반응
- 가족 구성원 동시 치료: 요충 치료 시 재감염 방지
주의사항
금기 사항
- 피르비늄 성분에 과민 반응 있는 환자
- 장폐색이 있는 환자
- 중증 간 질환 환자
신중 투여 대상
- 임산부: 위험-효과 비율을 신중히 평가 필요
- 수유부: 모유 이행 여부 불명확
- 신생아: 신생아에서는 독성 위험 증가 가능
특별 모니터링
- 일광 노출 관리: 복용 후 1-2일간 자외선 차단제 사용 필수
- 용량 조절: 체중 기반 정확한 용량 계산 필요
- 재감염 예방: 요충 치료 시 위생 관리 철저
약물 상호작용
- 테오필린: 경미한 상호작용 가능
- 피페라진: 병용 시 효과 감소 우려
항암 연구에서의 주의사항
- 용량 의존적 독성: 20mg/kg 초과 시 독성 위험 증가
- 장기 투여 안전성: 항암 목적의 장기 투여 데이터 부족
- 약물 상호작용: 항암제와의 병용 시 상호작용 가능성
리워드
![?php echo $story_item['post_title']; ? src=](https://sakuraherbs.com/wp-content/smush-webp/2025/10/ChatGPT-Image-2025년-10월-24일-오후-06_09_00-768x768.png.webp)
![?php echo $story_item['post_title']; ? src=](https://sakuraherbs.com/wp-content/smush-webp/2025/10/091ab270-136b-430b-a4ba-2b5ea42bba27-768x768.png.webp)
![?php echo $story_item['post_title']; ? src=](https://sakuraherbs.com/wp-content/smush-webp/2025/09/ChatGPT-Image-2025년-9월-25일-오후-06_48_41-768x768.png.we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