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Piracetam
피라세탐은 γ-아미노부티르산(GABA) 유사 구조를 가진 최초의 노트로픽(nootropic) 약물로, 1960년대 벨기에 UCB사가 합성했습니다. 세포막 유동성 증가, 미토콘드리아 기능 향상, 뇌혈류 개선 등을 통해 시냅스 가소성과 신경 대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미국 FDA 승인은 없지만 유럽·아시아 일부 국가에선 처방약(근간대성 근경련 등)으로, 기타 지역에선 건강기능식품 형태로 유통됩니다.
효능 및 작용 기전
1. 인지기능·치매
- 19개 무작위이중맹검시험(총 1,489명) 메타분석에서 임상적 전반개선률 63.9% vs 위약 34.1%로 우위
- Mini-Mental State Exam·기억 과제 등 객관 검사는 일관성이 부족하고, 알츠하이머 고용량(8 g/일) 1년 연구에선 진행 지연 시사점만 확인
2. 뇌졸중·실어증
- PASS 대규모 연구(927명): 12 시간 이내 투여 시 전체 효과 없음. 다만 7 시간 이내·중등도 이상군 분석에서 Barthel Index 개선(P = 0.02)
- 12주 다기관 시험(158명)에서 실어증 하위검사 유의 개선(P = 0.02)
3. 근간대성 근경련·운동질환
- EMA 승인 적응증(진전성 근간대성 근경련).
- 40명 이중맹검 교차시험에서 파킨슨계 약물로 유발된 지연성 운동장애 점수 3.0↓ vs 악화 0.2↑(P = 0.003)
4. 기타 탐구 영역
- 관상동맥 우회술 후 단기 인지회복 메타분석(184명)에서 5개 하위검사 유의 개선
- ADHD 보조요법, 겸상적혈구 통증발작, Raynaud 등은 근거 불충분.

복용대상
적응증 | 대상 | 근거 |
---|---|---|
근간대성 근경련 | 청·장년 | EMA 승인, 3상 다수 |
인지장애·경도인지손상 | 50세 이상 노인 | 메타분석·소규모 RCT들 |
실어증 재활 | 급성·아급성 뇌경색 후 6–12주 | 다기관 RCT |
여성·남성 신경계 부전 기타 | 오프라벨(파킨슨 인지 저하, 운전 시 주의) | 제한적 근거 |
부작용
구분 | 빈도 | 주요 내용 |
---|---|---|
흔함 | 1–10% | 신경과민, 불면/졸음, 체중 증가, 설사 |
드묾 | <1% | 고혈압, 진전, 발진, 혈액 응고 지연 |
주의 | 사례 | 고령·신부전 시 혈중 농도↑ → 근육 경련·출혈 위험 |
용법
적응 영역 | 권장량(성인) | 투여 기간 |
---|---|---|
인지 개선/경도 치매 | 1.2–4.8 g/일 (400–1,600 mg × 3) 경구 | 6–52주 연구 다수 |
근간대성 근경련 | 초기 7.2 g/일 → 증량 최대 24 g/일 | 유지 치료 |
급성 뇌졸중 연구용 | 12 g 정맥 볼루스 후 12 g/일 4주, 경구 4.8 g/일 추가 8주 | 임상시험 프로토콜 |
노인·신장애(eGFR < 60)에서는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 따라 50% 감량. 급성 중단 시 재발 보고가 있어 점진 감량 필요.
주의사항
- 금기: 중증 신부전(eGFR < 30), 간부전, 출혈 경향, 임신·수유, 약물 과민.
- 혈소판 억제제 병용(클로피도그렐 등) 시 출혈 위험 증대
- 운전·기계조작: 졸음·현기증 가능.
- 장기투여 모니터링: CBC, 신기능 6개월 간격.
동일성분 의약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