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Praziquantel

프라지콴텔은 화학명 2-(cyclohexylcarbonyl)-1,2,3,6,7,11b-hexahydro-4H-pyrazino(2,1-a)isoquinolin-4-one을 가진 광범위 구충제로, 1970년대 개발되어 현재까지 주혈흡충증과 각종 촌충 감염의 1차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작용기전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압 의존성 칼슘 채널 억제: 충체 내 칼슘 이온 항상성 파괴
  • 근육 수축 및 마비: 조절되지 않는 칼슘 유입으로 인한 경련성 마비
  • 피막 손상: 충체 표면 피막의 공포화와 손상 유발
  • 면역 반응 증강: 숙주 면역계에 의한 충체 제거 촉진

약물동태학적 특성:

  • 생체이용률: 경구 투여 후 광범위한 초회통과대사 경험
  • 최대 혈중농도: 1-3시간 내 도달
  • 대사: 주로 간에서 CYP3A4에 의해 대사되며, (R)-enantiomer가 주요 활성형
  • 배설: 주로 소변으로 배설

효능 및 작용 기전

기생충별 치료 효과

프라지콰텔의 기생충별 치료 성공률 프라지콴텔의 임상적 효과는 기생충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주혈흡충류:

  • 일본형 주혈흡충: 94.7% 치료 성공률 (60mg/kg 투여)
  • 만손형 주혈흡충: 76.7% 치료 성공률 (40mg/kg 투여)
  • 방광형 주혈흡충: 77.1% 치료 성공률 (40mg/kg 투여)


기타 흡충류:

  • 간흡충: 87.5% 치료 성공률 (75mg/kg, 2일간)
  • 폐흡충: 85.2% 치료 성공률 (75mg/kg, 3일간)
  • 촌충류: 95.0% 치료 성공률로 가장 높은 효과


용량-반응 관계

프라지콰텔 용량별 효과와 부작용의 관계 WHO 권장 용량인 40mg/kg에서 주혈흡충에 대해*77%의 치료 성공률을 보이며, 용량을 80mg/kg로 증량할 경우 90%까지 향상되나 부작용 발생률도 58%로 크게 증가합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프리스쿨 아동에서 80mg/kg 용량(40mg/kg 3시간 간격 2회)이 안전하면서도 더 높은 효과를 보임이 확인되었습니다.


지역별 효과 차이

프라지콘텔의 효과는 지역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입니다:

  • 에티오피아: 89.2% (가장 높음)
  • 브라질: 84.5%
  • 케냐: 71.2%
  • 우간다: 68.4% (가장 낮음)

이러한 차이는 기생충의 유전적 변이, 감염 강도, 면역 상태, 약물 브랜드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합니다.

프라지콴텔 효과

복용대상

주요 적응증

FDA 승인 적응증:

  • 주혈흡충증: S. mansoni, S. haematobium, S. japonicum, S. mekongi, S. intercalatum
  • 간흡충증: Clonorchis sinensis, Opisthorchis viverrini
  • 폐흡충증: Paragonimus westermani
  • 촌충 감염: 다양한 종류의 성체 촌충
  • 낭미충증: 뇌낭미충증 포함


연령별 대상

성인: 제한 없이 사용 가능 소아:

  • 4세 이상: 안전성 확립됨
  • 1-4세: 안전성 데이터 제한적이나 사용 가능
  • 6세 미만: 정제 분쇄하여 음식과 혼합 투여 가능


임신 및 수유:

  • 임신: 안전성 데이터 제한적이나 필요 시 사용 가능
  • 수유: 투여 당일 및 이후 72시간 동안 수유 중단 권장

부작용

일반적인 부작용
  • 복부 불편감: 31.1% (가장 흔함)
  • 두통: 25.2%
  • 어지러움: 18.5%
  • 오심: 12.8%
  • 구토: 8.4%


대부분의 부작용은 경증이며 12-24시간 내 자연 소실됩니다. 부작용의 원인이 약물 자체인지, 기생충 사멸로 인한 면역 반응인지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심각한 부작용

뇌낭미충증 환자에서:

  • 뇌압 상승: 두통, 오심, 구토 악화
  • 경련: 기존 간질 환자에서 위험 증가
  • 신경학적 악화: 기생충 사멸로 인한 염증 반응


드문 심각한 부작용:

  • 아나필락시스: 매우 드물지만 생명 위험
  • 부정맥: 심장 질환자에서 주의
  • 간효소 상승: 일시적, 무증상적 (27%까지)


중증도별 부작용

40mg/kg 투여 시 56.9%의 환자에서 부작용 경험하나, 대부분 경증이며 치료 중단이 필요한 경우는 3% 미만입니다.

프라지콴텔 부작용

용법

표준 용법

주혈흡충증:

  • S. mansoni, S. haematobium: 40mg/kg 1일, 2회 분할 투여
  • S. japonicum, S. mekongi: 60mg/kg 1일, 3회 분할 투여
  • 간흡충증: 75mg/kg/일, 3회 분할, 2일간
  • 폐흡충증: 75mg/kg/일, 3회 분할, 3일간
  • 촌충 감염: 5-25mg/kg, 단회 투여
  • 낭미충증: 50mg/kg/일, 분할 투여, 15일간


투여 방법
  • 식사와 함께: 위장관 자극 감소 및 흡수율 향상
  • 정제 그대로 삼킴: 쓴맛으로 인한 구토 방지
  • 6세 미만 소아: 정제 분쇄 후 반고체 음식과 혼합 가능
  • 투여 간격: 4-6시간 간격 유지


특수 상황에서의 용법

간기능 장애: Child-Pugh B/C 등급에서는 주의 깊게 사용 신기능 장애: 용량 조절 불필요 뇌낭미충증: 입원하에 치료 권장

주의사항

절대 금기사항
  • 프라지콘텔 과민반응
  • 안구 낭미충증: 기생충 사멸로 인한 비가역적 안구 손상 위험
  • 강력한 CYP3A4 유도제와 병용: 리팜핀 등으로 치료 효과 감소


상대적 금기 사항
  • 간질 또는 경련 병력: 뇌낭미충증에서 특히 위험
  • 중증 간기능 장애: 약물 대사 저하로 독성 위험 증가
  • 심혈관 질환: 부정맥 위험으로 모니터링 필요


약물 상호작용

주요 상호작용 (112개 약물):

  • 강력한 CYP3A4 유도제: 리팜핀, 카르바마제핀, 페니토인 등과 병용 금지
  • CYP3A4 억제제: 시메티딘, 자몽 주스 등으로 프라지콘텔 농도 증가
  • 덱사메타손: 뇌낭미충증 치료 시 병용하여 염증 반응 억제


특별 모니터링

치료 전 검사:

  • 안과 검사 (낭미충증 의심 시)
  • 간기능 검사
  • 심전도 (심장 질환자)


치료 중 모니터링:

  • 뇌낭미충증: 신경학적 증상 악화 여부
  • 심혈관 질환자: 부정맥 발생 여부
  • 간기능 장애 환자: 부작용 심화 여부


프라지콴텔은 40년 이상의 광범위한 사용 경험을 가진 안전하고 효과적인 구충제입니다. 내성 발생이 거의 없고, 대부분의 기생충 감염에서 높은 치료 성공률을 보이며, 적절한 용량과 모니터링을 통해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뇌낭미충증과 같은 중추신경계 감염에서는 전문의 감독 하에 입원 치료가 권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