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Ivermectin

이버멕틴(Ivermectin)은 1970년대에 개발된 강력한 항기생충 약물로, 스트렙토마이세스 아베르미틸리스(Streptomyces avermitilis)라는 세균에서 유래한 아베르멕틴 계열 화합물입니다. 이 약물은 다양한 내부 및 외부 기생충을 마비시키거나 사멸시키는 작용을 하며, WHO 필수의약품 목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래는 동물용 구충제로 개발되었으나, 1987년 인간용으로 승인받아 현재 호주, 프랑스, 일본, 네덜란드,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온코세르카증(강맹증), 림프관 필라리아증, 분선충증, 옴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버멕틴은 기생충의 신경 및 근육 기능에 관여하는 글루타메이트-개폐성 염화이온 채널(GluCl)에 결합하여 마비 및 사멸을 유도합니다.

 

효능 및 작용 기전

기생충 감염 치료 효과

이버멕틴의 주요 치료 효과는 다수의 대규모 임상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습니다. 19개 무작위 이중맹검 임상시험(총 1,489명 대상) 메타분석에서 이버멕틴의 임상적 전반 개선률은 63.9%로 위약군의 34.1%보다 현저히 우수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온코세르카증(강맹증) 치료

50μg/kg 단회 투여로 피부와 눈의 미세사상충을 98% 감소시키며, 효과가 9개월까지 지속됩니다. 대규모 지역사회 기반 임상시험에서 60만 명 이상이 치료받았으며, 전파 차단 효과도 65% 감소시켰습니다.


분선충증 치료

200μg/kg 단회 투여로 대부분의 환자에서 완전 관해를 달성하였으며, 면역저하 환자에서는 반복 투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옴 치료 효과

경구 이버멕틴 200μg/kg은 옴 치료에서 단일 투여로도 효과적이며, 9,917명의 환자를 포함한 52건의 임상시험 네트워크 메타분석에서 국소 퍼메트린과 유사한 치료율을 보였습니다. 딱지옴 환자에서는 2일 연속 복용 후 일주일 후 다시 2일 연속 복용하는 요법이 권장됩니다.


대량 투약 프로그램 효과

WHO 주도의 대량 투약 프로그램에서 이버멕틴은 알벤다졸, 프라지콴텔과 함께 사용되어 아동의 다양한 기생충 감염을 동시에 치료하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사회 차원의 기생충 질환 퇴치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버멕틴 효과

복용대상

주요 적응증
  • 분선충증 환자: 장내 선충(Strongyloides stercoralis) 감염 환자에게 1차 치료제로 사용됩니다.
  • 온코세르카증 환자: 강맹증을 유발하는 회선사상충(Onchocerca volvulus) 감염 환자의 표준 치료입니다.
  • 옴 환자: 특히 집단 발생이나 국소 치료제 사용이 어려운 경우에 선택됩니다.
  • 림프관 필라리아증: 다른 구충제와 병용하여 사용됩니다.


연령별 고려사항
  • 성인: 대부분의 기생충 감염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 15kg 이상 소아: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으며, 체중 기반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 15kg 미만 소아: 혈액-뇌 장벽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특수 환자군
  • 면역저하 환자: HIV 감염자 등에서 반복 투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대량 투약 프로그램 대상: 풍토병 지역의 지역사회 구성원들에게 예방적 투여가 시행됩니다.

부작용

이버멕틴의 부작용은 주로 경증에서 중등도이며, 치료받는 기생충 감염의 종류와 관련이 있습니다. 대규모 임상연구에서 심각한 부작용은 매우 드물게 보고되었습니다.


일반적 부작용

위장관계: 오심, 구토, 설사, 복통, 식욕부진, 변비 등이 때때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경계: 졸음, 기면, 현기증, 진전, 두통 등이 보고되었으며, 대부분 일시적입니다. 피부: 소양증, 발적, 두드러기 등의 피부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감염별 특이 부작용

온코세르카증 환자의 Mazzotti 반응: 관절통, 림프절 비대 및 압통, 소양증, 부종을 포함한 피부 병변, 구진성·농포성 발진, 발열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죽은 미세사상충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일시적이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 없이도 회복됩니다. 안과학적 반응: 눈의 감각이상, 안검부종, 전안부포도막염, 결막염, 각막염 등이 나타날 수 있으나, 시력상실을 초래하지 않으며 자연 회복됩니다.


심각한 부작용

순환기계: 때때로 기립성 저혈압, 빈맥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고용량 투여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간기능: 때때로 ALT·AST 수치 상승, 백혈구 수 감소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량투여 시: 구토, 저혈압, 혼수, 경련 등이 보고되었으며, 동물실험에서는 운동실조, 호흡완서, 진전, 안검하수 등이 관찰되었습니다.

용법

표준 용법
  • 분선충증: 200μg/kg를 1회 경구 투여하며, 일반적으로 추가 복용은 필요하지 않으나 감염충이 완전히 제거되었는지 검사해야 합니다. 온코세르카증: 150μg/kg를 1회 경구 투여하며, 국제 치료 프로그램에서는 12개월 간격으로 반복 투여합니다. 개별 환자 치료를 위해서는 최소 3개월 간격으로 재투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옴: 200μg/kg를 1회 경구 투여하며, 딱지옴의 경우 2일 연속 복용 후 일주일 후(8일째) 다시 2일 연속 복용하고, 2주일 후(15일째) 마지막 1회를 복용합니다.


체중별 용량 지침

소아 및 청소년을 위한 CHILD-IVITAB 제형에서는 다음과 같이 권장됩니다:

  • 5.0-14.9kg: 250μg/kg (성인보다 높은 용량)
  • 15kg 이상: 200μg/kg (성인과 동일한 용량)


복용 방법
  • 식사와 함께 물로 복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정제를 씹거나 쪼개지 않고 통째로 삼켜야 합니다
  • 복용 전 체중을 정확히 측정하여 적절한 용량을 계산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절대 금기사항
  • 이버멕틴 및 구성성분에 과민증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 임부 또는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동물실험에서 모체독성 용량 투여 시 최기형성이 보고되었습니다
  • 수유부: 이버멕틴이 소량 모유로 이행되므로 투여 중에는 수유를 중단해야 합니다


연령 관련 주의사항
  • 15kg 미만 소아: 혈액-뇌 장벽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안전성이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 5세 미만 또는 15kg 미만: 사용이 제한됩니다


특수 상황에서의 주의사항

동물용 의약품과의 구별: 동물용 이버멕틴은 인간에게 절대 사용해서는 안되며, 용량과 제형이 완전히 다릅니다. 반려동물용 심장사상충 예방약의 이버멕틴 용량은 인간 투여 용량의 1/20에도 못 미칩니다.

  • 기능 및 간기능 장애: 중증 신부전이나 간부전 환자에서는 신중한 사용이 필요하며,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권장됩니다.
  • 임신 계획: 임신을 계획하는 여성은 치료 완료 후 적절한 기간이 지난 후 임신을 시도해야 합니다.

동일성분 의약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