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Adapalene
아다팔렌은 3세대 레티노이드 중 자극이 가장 낮으면서도 12주 -55%, 52주 -80%의 지속적 병변 감소를 입증하였다. 초기 자극은 경미 · 일시적이며 장기 안전성도 우수해 경·중등도 여드름 1차 국소 치료제로 권장된다. 꾸준한 사용과 자외선 차단, 보습 관리가 치료 성공의 핵심이다.
- 화학명 C₂₈H₂₈O₃, 3세대 나프토에이트계 레티노이드
- 0.1% 겔(OTC)·0.3% 겔(처방)·0.1%/벤조일퍼옥사이드 2.5% 복합겔 등 제형
- 빛·산화 안정성이 높아 주간 사용도 가능하며 트레티노인 대비 자극이 적음
효능 및 작용 기전
임상기간 | 평가지표 | 아다팔렌 | 위약 / 비교군 | 근거 |
---|---|---|---|---|
12주 | 총 병변 수 변화율 | -55% | -34% | 다국 Phase 3, 0.1% 겔 1일 1회 |
12주 | 염증성 병변 감소 | -52% | -26% | ‘MORE’ 실제진료 시험, 0.1% 겔 |
52주 | 총 병변 수 변화율 | -80% | — | 0.3% 겔 장기 안전성 연구 |
52주 | IGA* ≤ ‘매우 경미’ 달성률 | 73% | — | 同上 |
아래 선형 그래프는 아다팔렌 0.1%/0.3% 겔의 장기 병변 감소 추세를 보여 준다.

복용대상
- 면포 ± 염증성 병변을 보이는 경증·중등도 여드름 환자
- 벤조일퍼옥사이드·클린다마이신과 병용 시 중등도·중증에서도 1차 선택
- 12세 이상 청소년 ~ 성인, Fitzpatrick 피부타입 I-VI 모두 안전성 입증
부작용
빈도 | 증상 | 특징 |
---|---|---|
흔함(≥10%) | 홍반, 건조, 박리, 작열감 | 4주 이내 최고, 8–12주 점차 소실 |
때때로(1–10%) | 가려움, 자극성 접촉피부염 | 농도↓·빈도↓로 관리 |
드묾(<1%) | 색소침착 변화, 광과민, 부종 | 자외선 차단 미준수 시 ↑ |
12개월 장기 연구에서 건조 2.3%, 자극 0%로 현저히 감소4. 전신 흡수량이 극미하여 기형유발·광범위 알레르기 사례 보고 없음.
용법
제형 | 권장 도포 | 특이 사항 |
---|---|---|
0.1% 겔 | 세안 후 1 일 1회(취침 전) 얇게 | 주·야 사용 가능, 자외선차단제 필수 |
0.3% 겔 | 1 일 1회 ― 자극 시 격일 시작 | 4–8주간 ‘레티노이드 반응’ 가능 |
0.1%+BPO 2.5% | 1 일 1회(저녁) | 항균·각질용해 동시 작용 |
- 메이크업·보습제는 완전 흡수(≈15 분) 후 사용.
- 초기 2–4주간 홍반·따가움 발생 시 격일 도포, 보습제 병행.
주의사항
- 금기: 유효 성분 과민증, 급성 습진·주사(rosacea)·손상 피부, 임부·수유부(안전 자료 부족).
- 광과민: 자외선, 인공선탑(자외선등) 노출 최소화·SPF 30 이상 자차 권장.
- 동시 사용 제한: 황산화벤조일·살리실산 등 자극성 각질용해제와 병용 시 추가 자극 가능 → 단계적 도입.
- 레티노이드 반응 관리: 홍반·각질↑ 시 보습제 사용, 1–2 주 휴약 또는 격일 재개.
- 피부 시술: 필링·왁싱·레이저 전후 5–7일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