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Modafinil

모다피닐은 초단작용 각성제이자 선택적 도파민 재흡수 억제제(weak DAT/NET inhibitor)로, 1998년 미국 FDA에서 기면증(Narcolepsy) 환자의 과다 주간졸림(EDS) 치료 목적으로 승인되었다. 분자식은 C₁₅H₁₅NO₂S, 분자량 273.35 g/mol이며, 국내 시판명은 프로비질·모다닐(100 mg, 200 mg)이다.

  • 작용 기전: 시상하부·뇌간의 각성회로(도파민·노르에피네프린·히스타민)에서 DAT/NET 차단 → 시냅스 내 도파민↑·노르에피네프린↑ → 각성 유지.
  • 반감기: 3–4 h(S-이성질체), 10–15 h(R-이성질체·아모다피닐).

 

효능 및 작용 기전

1. 기면증
  • 무작위 교차 6주 연구(N = 75): 일일 200 mg · 400 mg 투여 시 MWT 수면잠복기 40%↑·54%↑, ESS 3–4점 감소, 위약 대비 유의(-) 차이.
  • 장기 9주 2건 병합분석(N = 558): 200 mg/400 mg 하루복용으로 주간 깨어있기 유지시간(연장 MWT) 용량 의존적 증가(평균 7→12~14 min)
    2.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 보조치료
  • 12주 이중맹검 연구(N = 157, CPAP 순응 환자): 200 mg·400 mg군 ESS −4.5점, MWT +1.6 분·+1.5 분 vs 위약 ESS −1.8점, MWT −1.1 분.
    3. 교대근무 수면장애(SWD)
  • 12주 RCT(N = 209): 야간근무 전 200 mg 투여 시 KSS 졸림 점수 −1.5, 사고·근접사고 29% vs 54%(위약)로 감소.
    4. 인지 기능(오프라벨)
  • 메타분석(24편, N≈700)에서 건강인·우울증 회복기 대상 작업기억·집행기능 일부 개선 보고되나 효과 크기 작고 이질성 큼.

복용대상

  1. 성인 기면증(DSM-5/ICSD, ESS ≥ 10, MSLT 잠복 ≤ 8 min + SOREMP ≥ 2) 환자
  2. CPAP 순응 OSA에서 잔여 과다 주간졸림이 있는 환자
  3. 교대근무 장애(진단 기준 충족, 주간졸림·근무 중 수면 삽화)


18 세 미만·노인 데이터 제한, 소아 금기(심각한 피부 / 정신 부작용 위험).

부작용

범주 빈도 세부 증상 비고
신경계 21% 두통, 어지럼, 불면 대부분 경미
위장관 11% 오심·복통
정신신경 2–5% 불안 · 초조 · 정신착란 오남용 시↑
피부 <0.1% SJS/TEN, DRESS 소아발현 보고
심혈관 드묾 고혈압 악화, 빈맥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금기

용법

적응증 권장 용량 투여 시점 최대 투여량
기면증 200 mg qAM 또는 100 mg 아침+점심 아침 식후 400 mg/일
OSA 보조 200 mg qAM (CPAP 유지) CPAP 착용 지속 필수 400 mg/일
SWD 야간 근무 시작 1 h 전 200 mg 200 mg/근무
  • 고령·중등도 간장애·CrCl < 60 mL/min: 100 mg/day로 시작.
  • 반감기 짧아 늦은 오후 복용 시 불면·두근거림 증가.

주의사항

  1. 금기: 중증 간부전, 중증 고혈압·심부정맥, 어린이, 임신·수유, SJS 병력, 모다피닐 과민증.
  2. 정신과적 부작용: 불안·자살 사고 보고 → 증상 시 즉시 중단.
  3. 피부 과민반응: 최초 1–5주 내 SJS/TEN 가능 → 발진 첫 징후 시 영구 중단.
  4. 약물상호작용:
    • 강력 CYP3A4 유도제(리팜핀, 카바마제핀) → 혈중농도↓.
    • CYP2C19 억제(피토페린)로 페니토인·와파린 농도↑.
    • 경구피임약 효능 저하(엔자임 유도).
  5. 남용 / 의존: DAT 점유(≈50%, 200 mg) → 과량·장기복용 시 의존·금단 보고.
  6. 운전·기계조작: 완전 각성 회복 여부 주기적 평가, 활동 중 졸음 지속 시 운전 금지.


모다피닐 복용 시 주관적 졸림(ESS) 및 객관적 각성유지능(MWT) 개선 효과

모다피닐 주의사항

동일성분 의약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