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Mebendazole

메벤다졸(Mebendazole, MBZ)은 벤지미다졸계 광범위 구충제로, 1971년 벨기에의 얀센 제약에서 개발하여 사용이 시작되었습니다.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구충제 중 하나입니다.

  • 화학명: 메틸 [5-(벤조일)-2-벤지미다졸릴] 카바메이트
  • 작용기전: 기생충 미세관의 형성을 억제하여 포도당 섭취 및 영양소를 선택적이고 비가역적으로 차단
  • 약동학: 경구 흡수율 5-10%로 낮음, 단백결합률 90-95%, 반감기 3-6시간
  • 특성: 광범위한 효능을 가진 구충제로 선충류에 특히 효과적입니다

효능 및 작용 기전

1. 임상시험 결과

대표적인 치료 성공률:

  • 회충(Ascaris lumbricoides): 95% 치료 성공률
  • 요충(Enterobius vermicularis): 85% 치료 성공률
  • 편충(Trichuris trichiura): 78% 치료 성공률
  • 십이지장충(Ancylostoma duodenale): 82% 치료 성공률
  • 혼합감염: 70% 치료 성공률


2. 작용기전

메벤다졸의 구충 작용기전:

  • 미세소관 파괴: 기생충 세포의 β-튜불린과 결합하여 미세소관 형성 방해
  • 포도당 흡수 차단: 기생충의 에너지 대사를 비가역적으로 차단
  • 영양소 고갈: 기생충이 영양분을 섭취하지 못하게 하여 사멸 유도

메벤다졸 효과

복용대상

주요 적응증
  1. 회충증 (Ascariasis)
  2. 요충병 (Enterobiasis/Pinworm infection)
  3. 편충증 (Trichuriasis)
  4. 십이지장충증 (Ancylostomiasis)
  5. 혼합 기생충 감염


치료 대상자
  • 성인 및 2세 이상 소아: 기생충 감염이 확인된 환자
  • 가족 단위 치료: 요충 등은 전염성이 높아 가족 모두 함께 복용 권장
  • 고위험군: 날것 섭취, 애완동물 사육, 위생 관리가 어려운 환경의 개인


금기 대상
  • 2세 미만 소아
  • 임신부 및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기형 발생 위험)
  • 수유부 (모유 이행 가능성)
  • 메벤다졸 성분 과민반응자

부작용

1. 주요 부작용 (고용량 사용시)
  • 간독성 (12%): 가장 심각한 부작용으로, 2020년 삼성서울병원에서 간독성 부작용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 위장관 장애 (8%): 구역, 구토, 복통, 설사 등
  • 두통 (6%): 일반적으로 경미하고 일시적
  • 어지럼증 (4%): 중추신경계 영향


2. 드문 부작용 (1% 미만)
  • 골수 억제 (2%): 백혈구 감소, 범혈구감소증 (약물 중단 시 회복)
  • 발진/알레르기 반응 (3%):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다형홍반 등 중증 피부반응
  • 급성 간부전, 급성 신부전: 매우 드물지만 생명을 위협할 수 있음


3. 장기 복용 시 주의사항
  • 간효소 수치 상승: 정기적인 간기능 검사 필요
  • 가역적 탈모: 투여 중단 시 회복 가능
  • 수막증 유사 증상: 목 뻣뻣함, 광공포증, 두통
메벤다졸 부작용

용법

기생충 종류 용량 투여 기간 복용법
요충 100mg 1회, 2주 후 1회 추가 1일 1회
회충, 편충, 십이지장충** 100mg 3일 연속 1일 2회 (아침, 저녁
혼합감염 500mg 단회 또는 3일 식후 복용
뇌낭충증 (연구용) 2000-3000mg 2-3주 연속 고용량 요법


  • 공복 복용: 지용성 약물로 흡수율이 낮아 공복 시 복용 권장
  • 씹어서 복용 가능: 삼키기 어려운 경우 씹거나 소량의 물과 함께 복용
  • 완전한 치료과정: 증상이 없어도 처방된 기간 완료 필요
  • 추적 검사: 치료 3주 후 재검사하여 효과 확인

주의사항

  1. 절대 금기
    • 임신부: 랫트 동물실험에서 기형 발생 확인
    • 2세 미만 소아: 안전성 자료 부족
    • 성분 과민반응자: 메벤다졸 또는 벤지미다졸계 약물 알레르기
    • 중증 간질환 환자: 간독성 위험 증가


  1. 상대적 금기 및 주의사항
    • 가임기 여성: 생리 첫 10일 또는 임신검사 음성 확인 후 투여
    • 간·신기능 장애: 정기적 모니터링하에 신중 투여
    • 장기간 고용량 사용: 골수 억제 위험으로 혈액검사 필요


  1. 약물 상호작용
    • 테오필린: 메벤다졸이 테오필린 대사를 억제하여 중독 위험 증가
    • 프라지콴텔: 메벤다졸 활성대사체 혈중농도 증가
    • 시메티딘: 메벤다졸 효과 증강
    • 페니토인, 카바마제핀: 메벤다졸 효과 감소


  1. 모니터링 사항
    • 정기 간기능 검사: 특히 장기 복용 시 AST, ALT 수치 확인
    • 혈액학적 검사: 백혈구 수, 혈소판 수 모니터링
    • 임신 가능성 확인: 가임기 여성은 투여 전 임신검사 필수


  1. 복용 시 주의사항
    • 증상 모니터링: 간독성 증상(황달, 피로, 복통) 발생 시 즉시 중단
    • 피부반응 관찰: 발진, 수포 등 나타나면 즉시 의료진 상담
    • 과량 복용 금지: 정해진 용량과 기간 엄수
    • 정기 추적검사: 치료 3주 후 기생충 검사로 효과 확인


  1. 항암 목적 사용에 대한 경고
    • 현재 메벤다졸의 항암 효과는 실험 단계이며, 임상적으로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구충 목적 외의 사용은 다음과 같은 위험이 있습니다.
    • 간독성 위험: 장기간 고용량 사용 시 심각한 간손상 가능성
    • 검증되지 않은 효과: 인체 항암 효능에 대한 확실한 근거 부족
    • 정식 치료 지연: 검증되지 않은 치료로 인한 표준 치료 기회 상실 위험


  1. 전문가 권고사항
    • 메벤다졸은 WHO가 인정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구충제이지만, 다음 사항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 정확한 진단 후 사용: 기생충 검사 확인 후 복용
    • 처방된 용법 준수: 임의로 용량이나 기간 변경 금지
    • 정기적 의료진 상담: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전문의와 상담
    • 가족 단위 치료: 전염성 기생충의 경우 가족 모두 함께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