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Placenta
사람 태반에서 열·산 가수분해 또는 효소 분해로 얻은 수용성 단백‧펩타이드 혼합물이다. 아미노산·핵산·비타민·미네랄·여러 성장인자를 포함하며, 일본·한국 등 일부 국가에서 주사제(예: 라엔넥)·경구액(예: 유니센타)·화장품 원료로 허가되어 있다.
사람 태반 추출물은 피로 개선(71% vs 44%), 만성피로증후군 증상 완화, 간염·지방간 환자의 ALT 개선 등 다기관 RCT 근거를 갖지만, 연구 기간이 4–12주로 짧고 용량·제형이 이질적이다.
안전성은 대체로 양호하나 알레르기·면역반응 사례가 드물게 보고되므로 무분별한 시술·경구 복용은 피해야 한다.
장기간 효과와 최적 용량·투여 경로를 규명할 대규모, 표준화 임상이 필요하다.
효능 및 작용 기전
적용 영역 | 핵심 근거 | 주요 결과 |
---|---|---|
피로 개선 | 다기관 RCT 4주(315명) | CIS 피로 회복률 HPE 71.7% vs 위약 44.2%(p<0.001) |
만성피로증후군 | 피하주사 6주 RCT(78명) | FSS·VAS·MFI 점수 모두 위약 대비 유의 감소(CFS 하위군, p<0.05) |
간기능 개선 | ASH·NASH 환자 12주 RCT(194명) | ALT 20% 이상 개선율 HPE 62.9% vs 대조 48.8%(비열등) |
면역·항염 | 접촉피부염 마우스 모델 | CD4+T 세포 감소·Th2 전환으로 염증 억제 |
항피로 메커니즘 | 마우스 수영 피로 모델 | 미토콘드리아 손상·ROS·TNF-α 억제, IL-6 증가 |
복용대상
- 만성 피로 / 갱년기 증상 환자 - 주사 또는 경구 제제가 국내외 임상에 사용
- 간기능 이상(ASH·NASH) 환자 - 보조요법으로 RCT 근거 확보
- 피부·면역 질환 연구 대상 – 알레르기 피부염, 아토피 모델 등에서 실험적 효과
18세 이상 성인이 주요 연구 집단이며, 임신‧수유부와 소아에 대한 안전성 자료는 부족하다.
부작용
범주 | 빈도 | 세부 내용 |
---|---|---|
전신 | 3–9% | 미열, 권태, 주사부위 통증 |
위장관 | 2–3% | 오심, 소화불량, 복통 |
피부‧알레르기 | <2% | 발진, 가려움, 두드러기, 약물열 |
드문 중증 | 사례 보고 | 아나필락시스, 과민성 폐렴(증례 1건) |
RCT에서 위약 대비 ADR 빈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재조합 단백 혼합물이므로 알레르기 병력자는 주의가 필요하다.
용법
형태 | 일반 용량·기간 | 비고 |
---|---|---|
피하 또는 근육 주사 | 2 mL(112 mg) 주 2–3회, 4–8주 | 국내 라엔넥® 허가 posology |
경구액(하이드롤리세이트) | 4 mL 1일 3회, 4주 | 유니센타® 연구 프로토콜 |
경구 캡슐·분말 | 300–600 mg/일, 8–12주 | 건강기능식품 형태(돼지·양 태반 포함) |
모든 제제는 전문의 지도하에 용량을 조절하며, 주사제는 무균 제조·감염성 바이러스 음성 확인 절차가 필수다.
주의사항
- 감염 관리: 원료 태반은 HIV·HBV·HCV 음성 확인 후 고온·고압 멸균, 바이러스 불활화 공정을 거쳐야 한다
- 금기: 임신·수유, 중증 간‧신장애, 자가면역 질환 활성기, 알려진 단백·약제 과민증
- 면역억제제 병용: 이론상 사이토카인 변조 가능성이 있어 주치의 상의 후 사용
- 모니터링: 장기 투여 시 간효소·알레르기 증상·호흡기 증상 관찰, 비타민 A·스테로이드 포함 가능성 고지
- 제제 간 혼동: 인간, 돼지, 양 태반 등 원료가 상이하므로 동일 선상 비교·대체 사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