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Orlistat
올리스타트(Orlistat)는 지방을 분해하는 소화 효소인 리파아제(lipase)의 기능을 억제하여 섭취한 지방이 흡수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비만 치료제입니다. 1999년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세계 최초의 비만치료제로, 분자식은 C₂₉H₅₃NO₅이며 분자량은 495.7 g/mol입니다.
올리스타트는 lipstatin(천연 lipase inhibitor, 지질 분해효소 억제제)의 합성 유도체로, 위장관 내 지질 분해효소를 긴 시간 특이적으로 억제하여 지방이 흡수되지 않도록 막는 기전을 가집니다. 분해되지 않은 지방은 체내로 흡수되지 못하고 대변으로 배설되어, 결국 식사 칼로리가 줄어 체중 감량이 유도됩니다.
올리스타트는 pancreatic lipase와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그 기능을 억제하며, 이 결합은 가역적이어서 매 식사 시마다 새로 분비되는 pancreatic lipase에 작용합니다. 섭취 된 올리스타트는 극히 일부만 체내로 흡수되어 소변으로 배설되고, 대부분은 대사과정을 거치지 않고 대변으로 배설되기 때문에 전신적인 부작용이 적습니다.
효능 및 작용 기전
올리스타트의 체중 감소 효과는 다수의 대규모 임상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습니다. 캐나다 오타와 건강연구소의 28건 임상연구 검토 결과, 올리스타트 투여군은 위약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5% 감소할 가능성이 66% 더 컸고, 10% 이상 감소할 가능성이 90%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약 1만명 이상의 환자가 참여한 1년간 임상 17건 분석에서 올리스타트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10% 이상 감소될 가능성이 2배였습니다. 최신 메타분석 연구에서 16개의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에 1,368명이 참여한 결과, 올리스타트가 비만 환자의 BMI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올리스타트군은 위약군 대비 평균 2.4kg의 추가 체중 감소를 보였으며, 이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대사 개선 효과
올리스타트는 단순한 체중 감소를 넘어 다양한 대사 지표를 개선시킵니다. 제2형 당뇨병 환자 550명을 대상으로 한 52주간의 임상연구에서 올리스타트군은 총 콜레스테롤이 4.66% 감소하고 LDL 콜레스테롤이 9.06% 감소하는 반면, 위약군은 각각 2.61%, 0.83% 증가했습니다. 소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메타분석에서는 올리스타트가 총 콜레스테롤(MD=-8.11), 중성지방(MD=-3.22), LDL 콜레스테롤(MD=-6.06)을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HDL 콜레스테롤(MD=0.87)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뇨병 예방 효과
내당능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XENDOS(XENical in the prevention of Diabetes in Obese Subjects) 연구에서 올리스타트를 장기간 투여했을 때 제2형 당뇨병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습니다. 올리스타트는 유리지방산 농도를 낮추고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 시켜 혈당 통제를 개선하고 당뇨병 관련 합병증 위험을 감소 시킵니다.
심혈관 보호 효과
올리스타트는 당뇨병 여부에 상관없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시키며, 2형 당뇨병이나 심질환에 대한 다른 위험인자가 있는 환자에서도 체중감소 및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가 관찰되었습니다. 이러한 효과들은 심혈관질환 위험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복용대상
주요 적응증
올리스타트는 체질량지수(BMI) 30kg/m² 이상 또는 다른 위험인자(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가 있는 27kg/m² 이상의 비만 환자에게 적응됩니다. 칼로리 식이와 함께 체중 감소 또는 체중 유지를 포함한 비만치료 및 체중 재증가의 위험 감소를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연령별 적응증
- 성인: 주요 적응 대상으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과 함께 사용됩니다.
- 12-16세 청소년: 비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유효성 및 안전성이 평가되었으며, 이상반응은 성인에서 나타난 것과 유사했습니다.
- 12세 미만 소아: 연구되지 않았으므로 사용이 권장되지 않습니다.
특수 환자군
- 제2형 당뇨병 환자: 혈당 조절 개선과 체중 감소의 이중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이상지질혈증 환자: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가 입증되어 있습니다.
- 고혈압 환자: 체중 감소를 통한 혈압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
올리스타트의 부작용은 주로 지방 흡수 억제 작용과 관련된 위장관계 부작용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임상 연구에서 올리스타트군은 소화 기계 문제가 46%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기름 반점, 복통, 복부 불쾌감
- 분비물 포함 방귀, 지방변, 대변절박증
- 기름성 배변, 배변 증가
- 두통, 요통, 상기도 감염
일반적 부작용
- 중추신경계: 피로감, 불안감, 수면장애
- 피부: 피부 건조증
- 내분비계: 월경불순
- 소화기계: 대변 실금, 오심, 감염성 설사, 직장통, 직장 불편감, 구토
- 신경근 및 골격계: 관절통, 근육통
- 귀: 중이염
드문 부작용
복부 팽만, 과민반응, 혈관 부종, 기관지염, 기관지 경련, 담석증, 간염, 저혈당증, 췌장염, 가려움증, 두드러기, 발진 등이 보고되었습니다.
간 손상
드물게 중증의 간 손상이 보고되었습니다. FDA 자료에 따르면 1999-2008년 사이 32건의 심각한 간 손상이 보고되었으며, 이 중 6건은 간 부전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까지 총 21건의 중증 간 독성 의심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이 중 4건이 중증 간 독성 사례였습니다. 간기능 이상의 징후로는 식욕감퇴, 가려움, 황달, 어두운색 소변, 연한색 대변, 상복부 우측 통증 등이 있으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복용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보고해야 합니다.
지용성 비타민 결핍
장기 복용 시 비타민 A, D, E, K의 흡수 감소로 인한 결핍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비타민 A: 야간 시력 저하, 안구 건조, 피부 문제
- 비타민 D: 허리·관절·뼈의 통증, 골절, 근력 저하
- 비타민 E: 빈혈, 신경 증상
- 비타민 K: 멍, 코피, 출혈 경향 증가
부작용 관리
지방변이나 배변횟수의 증가 같은 부작용 때문에 일상활동이나 업무상 문제가 생길 수 있어 복용을 꺼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은 섭취한 지방이 흡수되지 않고 배설되는 정상적인 약리 작용의 결과이며, 고지방식과 함께 복용 시 소화기계 이상반응이 증가될 수 있습니다.
용법
올리스타트의 권장 용량은 지방을 함유하는 식사와 함께 복용하거나 식사 후 1시간 이내에 120mg을 1일 3회 경구투여하는 것입니다. 환자들은 지방에 의한 열량이 약 30%인 영양학적으로 균형 잡힌 가벼운 저칼로리 식사를 계속해야 합니다.
복용 방법
- 복용 시점: 지방을 함유하는 식사와 함께 또는 식후 1시간 이내
- 복용 빈도: 1일 3회, 1회 120mg
- 식사 분배: 지방, 탄수화물 및 단백질의 1일 섭취량을 세끼 식사에 골고루 분배
- 식사를 거르는 경우: 지방이 함유되지 않은 식사를 하거나 식사를 거르는 경우에는 복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효과 발현 시기
분변 중 지방 측정결과에 의하면 올리스타트의 효과는 약물 복용 24-48시간 후에 나타납니다. 대부분 복용 후 1-3일 내로 효과가 나타나며, 이때 대변으로 지방이 배설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를 중단하면 분변 중 지방함량은 대개 48-72시간 이내에 치료 전 수준으로 회복됩니다.
비타민 보충
올리스타트에 의해 몇몇 지용성 비타민(A, D, E, K) 및 베타카로틴의 흡수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환자들은 적절한 영양섭취를 위하여 지용성 비타민이 들어있는 종합비타민을 복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비타민 보충제는 올리스타트 투여 최소 2시간 전 또는 취침 시와 같이 올리스타트 투여 최소 2시간 후에 복용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다음 환자에게는 투여해서는 안됩니다.
- 만성 흡수 불량 증후군 또는 담즙 분비가 안되는 환자
- 올리스타트 또는 구성성분에 과민반응 병력이 있는 환자
- 18세 미만 환자
- 임신 중이거나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 수유부
- 특정 약물 복용 중인 환자: 시클로스포린 제제, 항HIV제, 와파린 등의 항응고제
임신 및 수유 관련 주의사항
임신 중 체중 감소는 태아에게 해를 입힐 수 있으므로 임신 중 올리스타트 사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임신 준비 중인 여성도 착상 시기에는 복용을 피해야 하며, 모유로의 이행 여부가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수유부에게도 투여해서는 안됩니다.
약물 상호작용
올리스타트는 다음 약물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 시클로스포린 A: 효과 감소 가능
- 지용성 비타민 보충제: 흡수 감소
- 아미오다론: 혈장 농도 감소 가능
- 와파린: 비타민 K 흡수 방해로 항응고 작용 증강 가능
- 아카보즈: 병용투여 금지
당뇨병 환자
체중 감소로 인해 당뇨병 환자의 대사 조절이 개선될 수 있으며, 경구용 혈당강하제나 인슐린 투여량 감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저혈당증에 주의하고 혈당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간기능 모니터링
간 손상의 징후인 무력감, 피곤, 고열,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간 기능 검사가 권장됩니다.
영양 상태 모니터링
지용성 비타민 결핍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비타민 보충과 정기적인 영양 상태 평가가 필요합니다.
생활습관 지침
올리스타트의 효과를 최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 식이지침 준수: 지방 함량 30% 이내의 균형 잡힌 저칼로리 식사
- 운동 병행: 생활습관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
- 충분한 치료 기간: 3-6개월 이상 지속적 복용으로 효과 평가
치료 중단 기준
3개월 이상 복용했음에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약사와 상담 후 복용 계속 여부를 판단하고, 6개월 이상 복용했음에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복용을 중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