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Armodafinil
아르모다피닐(Armodafinil)은 모다피닐의 R-이성질체로, 더 순수하고 개선된 형태의 각성촉진제입니다. 2007년 미국 FDA 승인을 받아 누비질(Nuvigil)이라는 상품명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주요 특징:
- 분류: 유게로익스(eugeroics) 계열 각성촉진제
- 작용기전: 도파민 재흡수 억제, 오렉신 및 히스타민 방출 활성화
- 반감기: 모다피닐보다 길어 12-15시간 지속
- 특성: 전통적 자극제와 달리 중추신경계에 부드럽게 작용하여 부작용이 적음
효능 및 작용 기전
- 수면장애별 효과
- OSA 환자: ESS 점수 평균 7.3점 개선 (위약 2.1점)
- 기면증 환자: ESS 점수 평균 4.7점 개선 (위약 2.0점)
- 교대근무 수면장애: 98% 환자에서 임상적 개선 (위약 33%)
- 장기 효과 및 안전성
- 치료 지속률: 57% 환자가 12개월 이상 치료 지속
- 임상 개선률: OSA 80%, 기면증 84%, 교대근무장애 98%가 최소 개선 이상 달성
- 효과 발현: 치료 시작 1개월부터 효과 나타나 12개월까지 지속
- 기타 효과 연구
- 의료진 피로 개선: 수면박탈 상태 의사의 인지능력 향상 확인
- 암 관련 피로: 일부 연구에서 효과 제한적
- 인지기능 향상: 작업기억, 계획능력, 문제해결능력 개선
복용대상
주요 적응증
- 기면증(narcolepsy)으로 인한 과도한 주간 졸음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치료 중에도 지속되는 주간 졸음
- 교대근무 수면장애로 인한 각성 유지 곤란
- 특발성 과다수면증 및 기타 수면장애
치료 대상자
- 성인 환자 (18세 이상)
- 기존 치료(CPAP 등)로도 잔존 졸음이 있는 환자
- 안전상 중요한 업무를 수행하는 환자 (운전자, 의료진 등)
- 다른 각성제에 부작용이나 내성을 경험한 환자
부작용
흔한 부작용 (10% 이상)
- 두통(25%): 가장 흔한 부작용, 대부분 경미하고 일시적
- 비인두염(17%): 상기도 감염 증상
- 불면증(14%): 특히 고용량 사용 시 증가
기타 부작용 (5-10%)
- 오심(10%): 식사와 함께 복용으로 완화 가능
- 어지럼증(8%): 치료 초기에 주로 발생
- 불안(6%): 기존 불안장애 환자에서 주의 필요
심각한 부작용 (드물게)
- 심각한 피부반응: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독성표피괴사용해
- 정신과적 증상: 자살충동, 조증, 환각 등
- 심혈관 부작용: 높은 용량에서 혈압·심박수 상승
용법
적응증 | 용량 | 투여시간 | 특이사항 |
---|---|---|---|
기면증, OSA | 150-250mg/일 | 아침 1회 | 음식과 무관하게 복용 가능 |
교대근무장애 | 150mg | 근무 시작 1시간 전 | 야간근무 전에만 복용 |
고령자 | 100-150mg/일 | 아침 1회 | 간·신기능에 따라 감량 |
- 일정한 시간: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하여 생체리듬 유지
- 음식 관계: 식사와 무관하나 공복 시 더 빨리 흡수
- 통째로 복용: 씹거나 부수지 말고 물과 함께 복용
- 점진적 용량조절: 최소 유효량부터 시작하여 필요시 증량
주의사항
절대 금기
- 임산부, 수유부: 태아 및 영아에 대한 안전성 미확립
- 중등도~중증 고혈압, 부정맥 환자
- 아르모다피닐 성분 과민반응 병력자
- 16세 미만 소아: 안전성 및 효능 미확립
상대적 금기 및 주의사항
- 정신과 질환: 우울증, 조증, 불안장애, 정신병 병력 환자 신중 투여
- 심혈관 질환: 좌심실비대, 심장판막질환 병력 있는 경우 주의
- 간질환: 중증 간기능장애 시 용량 감량 필요
- 간질 환자: 발작 역치 저하 가능성
약물 상호작용
- 경구피임약: 효과 감소 가능성으로 추가 피임법 필요
- 와파린: 항응고 효과 증강 가능성
- 삼환계 항우울제: 혈중농도 상승 위험
- CYP3A4 유도제/억제제: 아르모다피닐 농도 변화 가능
모니터링 사항
- 정기 혈압 측정: 특히 치료 초기 3개월간 주의깊게 관찰
- 정신과적 증상: 불안, 조증, 자살사고 등 발생 시 즉시 중단
- 피부반응: 발진, 수포 등 나타나면 즉시 중단하고 피부과 진료
- 수면 패턴: 야간 수면에 미치는 영향 정기 평가
특별 권고사항
- 운전 및 기계조작: 완전한 각성 회복 확인 후 수행
- 의존성 위험: 장기 사용 시에도 의존성은 낮으나 정기 재평가 필요
- 갑작스런 중단 금지: 점진적 감량으로 중단하여 반동 졸음 방지
- 정기 진료: 효과 및 부작용 모니터링을 위한 정기 방문 필수
장기 사용 시 주의사항
- 혈압 모니터링: 평균 3.6/2.3 mmHg 상승, 심박수 6.7bpm 증가
- 중단률: 13% 환자가 부작용으로 치료 중단
임상시험에서 확인된 부작용 (743명, 12개월 연구) 아르모다피닐의 주요 부작용 발생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