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Spironolactone

스피로놀락톤(Spironolactone)은 칼륨 보존성 이뇨제이자 알도스테론 수용체 길항제로, 1957년에 개발되어 1960년 FDA 승인을 받은 약물입니다. 원래는 고혈압과 부종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심부전, 고혈압, 여드름, 다모증 등 다양한 질환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약물은 신장의 원위세뇨관과 집합관에서 알도스테론과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나트륨과 수분의 배설을 증가시키고 칼륨을 보존하는 작용을 합니다. 또한 안드로겐 수용체를 차단하는 항안드로겐 작용도 가지고 있어 여성의 호르몬성 여드름과 다모증 치료에도 활용됩니다.

효능 및 작용 기전

심부전 치료 효과

스피로놀락톤의 가장 중요한 임상적 근거는 RALES(Randomized Aldactone Evaluation Study) 연구에서 나옵니다. 이 연구는 1,663명의 중증 심부전 환자(좌심실 박출률 35% 이하)를 대상으로 진행된 대규모 임상시험으로, 평균 24개월 추적 관찰 결과 스피로놀락톤군의 사망률이 35%, 위약군이 46%로 나타나 30%의 사망률 감소 효과를 보였습니다. 또한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률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뉴욕심장협회(NYHA) 기능적 분류에서도 개선을 보였습니다.


여드름 치료 효과

SAFA(Spironolactone for Adult Female Acne) 연구는 410명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된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으로, 스피로놀락톤의 여드름 치료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12주차에 치료 성공률은 스피로놀락톤군 19%, 위약군 6%로 나타났으며, 24주차에는 환자 자가 평가 개선율이 스피로놀락톤군 82%, 위약군 63%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다른 연구에서는 독시사이클린과 비교했을 때 스피로놀락톤이 6개월 후 2.87배 더 우수한 치료 성공률을 보였습니다.


고혈압 치료 효과

난치성 고혈압 환자 17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스피로놀락톤 25-100mg 투여 시 24시간 수축기 혈압이 평균 16mmHg, 이완기 혈압이 평균 9mmHg 감소했습니다. 외래 혈압도 수축기 14mmHg, 이완기 7mmHg 감소했으며, 48%의 환자에서 목표 혈압 달성이 가능했습니다.

스피로노락톤 효과

복용대상

주요 적응증
  1. 심부전 환자: 좌심실 박출률이 감소된 중증 심부전 환자(NYHA III-IV급)에서 표준 치료와 병용 시 사용됩니다.
  2. 고혈압 환자: 특히 난치성 고혈압이나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환자에게 효과적입니다.
  3. 부종 환자: 울혈성 심부전, 간경변으로 인한 복수, 신증후군으로 인한 부종 치료에 사용됩니다.
  4. 성인 여성의 여드름: 호르몬성 여드름, 특히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지속적인 안면 여드름에 사용됩니다.
  5.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안드로겐 과다로 인한 여드름, 다모증, 생리불순 치료에 오프라벨로 사용됩니다.


특수 환자군
  1. 심부전 환자: 좌심실 박출률이 감소된 중증 심부전 환자(NYHA III-IV급)에서 표준 치료와 병용 시 사용됩니다.
  2. 고혈압 환자: 특히 난치성 고혈압이나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환자에게 효과적입니다.
  3. 부종 환자: 울혈성 심부전, 간경변으로 인한 복수, 신증후군으로 인한 부종 치료에 사용됩니다.
  4. 성인 여성의 여드름: 호르몬성 여드름, 특히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지속적인 안면 여드름에 사용됩니다.
  5.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안드로겐 과다로 인한 여드름, 다모증, 생리불순 치료에 오프라벨로 사용됩니다.
    • 트랜스젠더 여성: 여성화 호르몬 치료의 일환으로 항안드로겐 효과를 위해 사용됩니다.
    • 다모증 환자: 과도한 털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부작용

주요 부작용

전해질 이상:

  • 고칼륨혈증: 가장 심각한 부작용으로, 특히 ACE 억제제나 ARB와 병용 시 위험 증가


성기능 관련 부작용:
  • 여성형 유방(남성): 용량 의존적으로 9-52% 발생, 150mg/일 이상에서 빈도 증가
  • 성기능 장애, 발기부전


기타 부작용:
  • 두통: 스피로놀락톤군 20% vs 위약군 12%
  • 졸음, 무기력감
  • 월경 불순
  • 위장관 증상: 오심, 구토, 설사, 복통
  • 피부 발진


심각한 부작용

RALES 연구에서 심각한 고칼륨혈증은 두 군 모두에서 최소한으로 발생했으나, 실제 임상에서는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용법

표준 용법

심부전 치료:

  • 시작 용량: 25mg 1일 1회
  • 유지 용량: 25mg 격일 투여에서 50mg 1일 1회까지 조절 가능


고혈압 치료:
  • 시작 용량: 25mg 1일 1회
  • 최대 용량: 100mg 1일 1회


부종 치료:
  • 시작 용량: 100mg 1일 1회 (단일 또는 분할 투여)
  • 용량 범위: 25-200mg 1일 1회


여드름 치료 (오프라벨):
  • 시작 용량: 50mg 1일 1회
  • 유지 용량: 50-200mg 1일 1회


복용 방법
  • 음식과 함께 복용하여 위장 부작용을 줄입니다.
  • 하루 1회 복용 시 아침에, 고용량 분할 복용 시 오후 4시 이전에 복용합니다.
  • 정제를 씹지 말고 통째로 삼켜야 합니다.


특수 환자군 용법

신장애 환자:

  • eGFR 30-50mL/min/1.73m²: 25mg 격일 투여 고려
  • eGFR <30mL/min/1.73m²: 금기 고령자: 일반적으로 용량 조절이 필요하지 않으나 부작용 위험 증가로 주의 필요

주의사항

  1. 금기 및 반드시 피해야 할 상황
    • 임신 중 사용 금지: 태아에 악영향 가능성이 있으므로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피임 필수, 복용 중 임신 확인 시 즉시 중단해야 합니다.
    • 심각한 신기능 장애(신부전, 무뇨증), 고칼륨혈증 환자, 애디슨병은 복용 금지입니다.


  1. 고칼륨혈증 및 전해질 이상
    • 고칼륨혈증 치명적 위험: 칼륨 보충제, 칼륨이 풍부한 식품(바나나, 오렌지 등), ACE 억제제, ARB, NSAIDs, 다른 칼륨 보존 이뇨제, 헤파린 등과 병용 시 치명적 고칼륨혈증이 나타날 수 있으니 병용을 피해 주세요.
    • 정기적 혈액검사: 복용 초기 3개월은 매월, 이후 3개월 후 1회, 이후 6개월마다 혈청 칼륨과 크레아티닌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신기능 저하·고령자: 신장애, 고령, 당뇨, 약물 병용 환자는 고칼륨혈증·저나트륨혈증 위험이 더욱 높으니, 특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1. 간기능 장애·중증 간질환
    • 간기능 장애 환자, 간성 혼수 위험 환자에게는 체액 및 전해질평형 실조로 주의해야 하며, 신중히 투여합니다.


  1. 주요 부작용 및 이상반응
    • 장기 복용 시: 여성형 유방, 유방통, 월경불순/무월경, 다모증, 탈모, 발진, 위장장애(구역, 구토, 설사 등), 어지럼, 두통, 졸음 등이 있다.
    • 드물게: 면역 관련 과민반응, 반구진성/홍반성 피부발진, 저나트륨혈증, 우울, 불안, 정신착란 등.


  1. 복용 및 일상생활 주의
    • 투여 초기는 졸음‧어지럼 등 부작용 나타날 수 있으니 운전, 기계조작 주의.
    • 야간 배뇨 방지 위해 오전 복용 권장.
    • 과량 투여 위험: 졸음, 구토, 어지럼, 설사, 정신착란 등 증상 시 즉시 병원 방문 필요.
    • 용도 외(탈모 등) 장기 사용은 의사 상담 필수.

동일성분 의약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