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라토닌은 간뇌에 있는 송과선에서 분비한다.
낮에 햇빛에 노출되어야 생성이 되고 밤에 분비가 가능하다.
저녁 7시에 분비되기 시작하여 10시에 급상승하고 새벽 3시에 최고로 분비되었다가 그다음 아침 7시에 빛이 들어오면 멜라토닌 호르몬의 분비가 억제되어 숙면을 할 수가 없다.즉 올바른 취침 패턴을 만들어주는 호르몬이다.
다만 사람들이 햇빛보다는 인조적인 광선을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정상 분비가 지연되고
이런 패턴이 오래된다면 생활 체계가 무너져 수면을 취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멜라토닌의 효능은 활동일 주기를 조절하여 수면을 취하게 해 줌
활성산소를 제거하는데 빛에 의해서 멜라토닌 호르몬의 분비가 차단되면 활성산소가 증가하여 암도 발생
그리고 멜라토닌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면 에스트로겐 분비가 증가하여 유방암, 심장병이 증가
또 면역력, 성기능과 근력 증가 역할을 한다.
즉 멜라토닌은 몸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아주 중요한 호르몬이다.
부작용은
여성호르몬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임신 중이거나 임신을 생각하는 여성 등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고 한다.
. 하지만 호르몬제의 특성상 부작용의 우려가 매우 적고 많은 의사들은 부작용에 대해 걱정하지 말라고 한다.
그 이유는 호르몬의 특성 때문인데
동물 호르몬(hormone)의 경우 특정 장기에서 분비되어 혈액을 통해 전신에 산포 되며
특정한 수용기에만 작용하는 생체물질의 총칭각각의 호르몬은 신체 내에 특이적인 수용체가 있으며 표적세포만이 호르몬에 반응한다.
이런 특정 수용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세포는 호르몬에 반응하지 않는다
사쿠라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