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Acyclovir
아시클로버(Acyclovir)는 1977년에 개발된 세계 최초의 선택적 항바이러스제로, 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nucleoside analog) 계열에 속합니다. 구아노신의 아사이클릭 유사체로서, 헤르페스 바이러스군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혁신적인 항바이러스 약물입니다.
이 약물의 핵심 특징은 바이러스 선택적 활성화입니다. 아시클로버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 세포에서만 활성화되어 바이러스 DNA 합성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면서, 정상 세포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이러한 선택성으로 인해 “magic bullet(마법의 총알)”이라고 불리며, 현대 항바이러스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아시클로버는 세계보건기구(WHO) 필수의약품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경구, 정맥내, 국소 제형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효능 및 작용 기전
작용 기전
아시클로버의 독특한 3단계 인산화 과정이 선택성의 핵심입니다:
- 1단계: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티미딘 키나제(TK)에 의해 아시클로버 모노포스페이트로 변환
- 2단계: 세포 내 구아닐레이트 키나제에 의해 디포스페이트 형성
- 3단계: 활성형인 아시클로버 트리포스페이트 완성 활성형 약물은 바이러스 DNA 폴리머라제를 억제하고, DNA 체인에 결합하여 DNA 합성을 종료시킵니다. 중요한 것은 바이러스 DNA 폴리머라제에 대한 친화도가 인간 DNA 폴리머라제보다 30배 높다는 점입니다.
바이러스별 효능
다양한 바이러스에 대한 아시클로버의 항바이러스 활성 연구 결과 바이러스별 감수성에 현저한 차이가 있습니다:
- HSV-1: IC₅₀ 0.1 μM (매우 높은 감수성)
- HSV-2: IC₅₀ 0.4 μM (높은 감수성)
-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ZV): IC₅₀ 47.1 μM (중등도 감수성)
- 거대세포바이러스(CMV): IC₅₀ 47.1 μM (낮은 감수성)
이러한 차이는 각 바이러스의 티미딘 키나제 활성도 차이에 기인합니다.
단순포진 뇌염에서의 획기적 효과
단순포진 뇌염에서 아시클로버 치료의 극적인 개선 효과 아시클로버 도입은 단순 포진 뇌염 치료에 혁명적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 사망률: 70% → 25% (2.8배 감소)
- 생존율: 15% → 75% (5배 증가)
- 완전회복율: 5% → 35% (7배 증가)
이는 현대 의학사에서 가장 극적인 치료 성과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복용대상
주요 적응증
-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
- 초발 생식기 헤르페스
- 재발성 생식기 헤르페스
- 구순포진(입술헤르페스)
- 피부점막 헤르페스
-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
- 대상포진(herpes zoster)
- 수두(varicella)
- 특히 면역저하 환자에서 중요
- 중증 헤르페스 감염
- 단순포진 뇌염
- 신생아 헤르페스
- 면역저하 환자의 파종성 헤르페스
- 안과 적응증
- 헤르페스성 각막염
- 바이러스성 결막염
특수 환자군
- 면역 저하 환자: HIV, 장기이식, 항암 치료 환자에서 예방 및 치료 목적
- 신생아: 출생 시 헤르페스 노출 위험이 있는 경우
- 임산부: 분만 시 헤르페스 전파 예방
부작용
아시클로버는 전반적으로 안전한 약물이지만, 투여 경로에 따라 부작용 양상이 다릅니다.
경구 투여
- 오심/구토: 15%
- 두통: 12%
- 피로감: 10%
- 현기증: 8%
정맥내 투여
- 오심/구토: 25%
- 두통: 20%
- 피로감: 18%
- 현기증: 15%
- 주사부위 염증: 9%
신장독성
- 결정뇨증: 급속 정맥주사 시 발생
- 급성 신부전: 5% (정맥투여), 1% (경구투여)
- 예방: 충분한 수분공급, 1시간 이상 천천히 주입
신경독성
- 혼돈, 환각, 떨림: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 3-5%
- 발작: 드물게 발생
- 평균 발현: 투여 시작 후 3.1일, 회복 9.8일
국소 사용 시 부작용
- 작열감, 따끔거림: 1-5%
- 접촉성 피부염: 1% 미만
- 전신 흡수 거의 없음
용법
성인 표준 용량
경구 투여
- 초발 생식기 헤르페스: 200mg 5회/일 또는 400mg 3회/일, 7-10일
- 재발성 생식기 헤르페스: 200mg 5회/일 또는 400mg 3회/일, 5일
- 대상포진: 800mg 5회/일, 7-10일
- 수두: 800mg 4회/일, 5일
정맥내 투여
- 중증 HSV 감염: 5mg/kg 8시간마다, 5-10일
- 단순포진 뇌염: 10mg/kg 8시간마다, 10일
- 대상포진 (면역저하): 10mg/kg 8시간마다, 7일
연령별 가이드라인
- 신생아 (0-3개월): 20mg/kg 8시간마다
- 소아 (3개월-12세): HSV 10mg/kg, VZV 20mg/kg 8시간마다
- 청소년 (12세 이상): 성인과 동일
중요한 점은 신생아에서 고용량 사용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는 뇌장벽 통과와 CNS 감염 예방을 위함입니다.
신기능 장애 시 용량 조절
- 크레아티닌 청소율 10-25 mL/min: 정상 용량의 50%
- 크레아티닌 청소율 <10 mL/min: 정상 용량의 25%
주의사항
금기사항
- 아시클로버 과민반응 환자
- 중증 신기능 장애 환자 (용량 조절 필요)
신중 투여 대상
- 신기능 장애: 정기적 크레아티닌 모니터링
- 65세 이상 고령자: 신기능 감소로 인한 독성 위험 증가
- 탈수 환자: 신독성 위험 증가
임신 및 수유
임신 중 아시클로버 사용 시 기형 발생률의 안전성 프로필
임신 중 안전성
최근 대규모 연구들이 임신 중 아시클로버 사용의 안전성을 뒷받침합니다:
- 주요 기형 발생률: 2.2% (대조군 2.4%, 통계적으로 비유의)
- 조산, 저체중아, 태아성장지연: 모두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 없음
미국 CDC 권고: 임신 중 생식기 헤르페스 초발 감염이나 중증 재발에서 사용 권장
수유 중 사용
- 모유 이행: 소량 (혈중농도의 0.6-4.1%)
- 신생아 안전성: 신생아에 직접 투여되는 용량보다 적음
- 수유 가능: 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간주
내성 문제
- 면역정상 환자: 내성 발생 매우 드묾 (<1%)
- 면역저하 환자: 내성 발생률 증가 (5-10%)
- 내성 기전: 주로 티미딘 키나제 결핍 돌연변이
- 대체 치료: 포스카네트(foscarnet) 사용
정맥투여 시 필수 검사
- 신기능: 크레아티닌, BUN 정기 검사
- 전해질: 나트륨, 칼륨 모니터링
- 신경학적 상태: 의식수준, 떨림, 환각 관찰
주입 시 주의사항
- 농도: 7mg/mL 이하 권장 (정맥염 예방)
- 주입 속도: 최소 1시간 이상
- 수분 공급: 충분한 수액 공급으로 결정뇨 예방
약물 상호작용
- 프로베네시드: 아시클로버 청소율 감소, 독성 위험 증가
- 신독성 약물: 암포테리신 B, 시클로스포린과 병용 시 주의
- 조직외약: 정맥주위 조직 괴사 위험
동일성분 의약품
친구초대
![?php echo $story_item['post_title']; ? src=](https://sakuraherbs.com/wp-content/smush-webp/2025/11/ChatGPT-Image-2025년-11월-3일-오후-01_10_16-768x768.png.webp)
![?php echo $story_item['post_title']; ? src=](https://sakuraherbs.com/wp-content/smush-webp/2025/10/ChatGPT-Image-2025년-10월-24일-오후-06_09_00-768x768.png.webp)
![?php echo $story_item['post_title']; ? src=](https://sakuraherbs.com/wp-content/smush-webp/2025/10/091ab270-136b-430b-a4ba-2b5ea42bba27-768x768.png.we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