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albendazole
알벤다졸은 벤즈이미다졸 계열의 광범위 항기생충제로, 활성 대사체인 알벤다졸 설폭사이드가 기생충의 β-튜불린에 결합해 미세소관 형성을 억제하고, 포도당 흡수와 ATP 생성 저하를 통해 기생충을 사멸시킨다. 장관선충과 유충 단계 모두에 작용하여 회충, 구충, 편충 등 토양매개선충(STH)과 낭미충증(신경낭미충), 포충증(에키노코쿠스) 등 조직 감염에도 사용된다.

효능 및 작용 기전
주요 적응증과 요법 요약
주요 기생충 감염에서의 알벤다졸 권장 치료 요약
- 회충(Ascaris): 400mg 단회로 높은 치료율.
- 구충(Hookworm): 표준 400mg 단회의 치료율은 중등도, 성인에서 600–800mg 단회가 더 높은 치료율을 보일 수 있음.
- 편충(Trichuris): 단회 400mg 효과 낮아 반복·병용(예: 이버멕틴 고정복합제) 고려.
- 낭미충증(신경낭미충): 15 mg/kg/일을 8–30일 분할 투여, 병변 수·크기에 따라 병용 스테로이드 필수.
- 포충증(Echinococcus): 15 mg/kg/일로 28일 투약을 14일 휴약 간격을 두고 3사이클 반복, 수술/경피적 배액과 병행.
구충증 용량–반응(성인)
성인 구충증에서 알벤다졸 단회 용량에 따른 치료율 변화 무작위 용량-탐색 임상에서 성인의 단회 용량이 증가할수록 치료율이 향상되었고, 800mg 단회에서 관찰 치료율이 가장 높았다(예: 400mg 53%, 800mg 94%). 이는 성인 구충증에서 고용량 단회 전략이 지역 상황에 따라 고려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상충증에서의 30일 효과 비교
알벤다졸과 이버멕틴의 30일간 미세사상충혈증 감소 비교 저부하 지역 성인에서 30일간 미세사상충혈증이 알벤다졸 400mg/일 군 1339→237 mf/mL(−82%), 이버멕틴 200µg/kg 단회 군 1395→134 mf/mL(−91%)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용법과 목표(성충/미세사상충)에 따라 약제 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
복용대상
- 장내 선충류: 회충, 구충, 편충 등 STH 감염 환자.
- 조충/흡충 일부: 대체요법 또는 병용요법으로 선택(프라지콴텔/니클로사마이드 우선인 경우 다수).
- 조직 감염: 낭미충증(신경낭미충), 포충증(낭성·포충성 에키노코쿠스).
- 사상충증·분선충증 등 지역 유행 감염: 단독 또는 이버멕틴 병용/고정복합제 고려.
특수 대상
- 소아: WHO 프로그램에서 400mg 단회가 널리 사용되나, 연령·체중·감염 종류에 따른 가이드 준수.
- 간질환자·혈액질환 위험자: 장기 고용량 치료 시 더욱 엄격한 모니터링 필요.
부작용
일반적(단기·저용량)
- 복통, 설사, 메스꺼움, 두통, 어지럼 등 경미 증상.
드물지만 중요
- 간독성: 경미한 간효소 상승부터 드물게 급성 간염까지 보고.
- 혈액학적 이상: 드물게 범혈구감소증, 무과립구증, 백혈구감소증. 간질환 동반 시 위험 증가.
- 피부: 드물게 다형홍반,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 장기 고용량 치료 시: 발열, 가역적 탈모, 두통 등 보고 빈도 상승.
안전성: 단기 vs 장기 고용량 단기 저용량과 장기 고용량 요법 간 안전성 위험 비교 장기 고용량(낭미충/포충 치료)에서는 간효소 상승·골수억제·피부/전신 이상 위험이 누적적으로 증가하므로 사전·치료 중 정기 검사 필수.
용법
일반 원칙
- 장내 STH: 성인·소아에 400mg 단회(편충 제외 효과 낮음).
- 식사(특히 지방식)와 병용 시 흡수 증가로 조직 기생충 치료에서 유리.
대표 요법
- 회충·구충: 400mg 단회. 구충 성인에서 600–800mg 단회가 더 우수할 수 있음.
- 편충: 400mg 단회 효과 낮아 반복 투여 또는 이버멕틴과의 고정복합제 고려.
- 낭미충증(신경낭미충): 15 mg/kg/일을 8–30일 분할, 스테로이드·항경련제 병용 권장.
- 포충증(에키노코쿠스): 15 mg/kg/일, 28일 투약 후 14일 휴약 × 3사이클, 수술/PA와 병행.
- 사상충증: 지역 가이드에 따라 알벤다졸 단독 30일 또는 이버멕틴 단회/병용 비교·선정.
약물 상호 작용 기반 용량 고려
- 활성 대사체(설폭사이드) 농도 ↑: 시메티딘, 프라지콴텔, 덱사메타손, 리토나비르.
- 활성 대사체 농도 ↓: 페니토인, 카바마제핀, 페노바르비탈.
- 상호작용 시 효과/독성 변동에 따라 모니터링 및 용량·대체요법 고려.
주의사항
- 알벤다졸 또는 벤즈이미다졸 과민증.
- 임신(특히 1분기): 동물에서 기형 유발 보고.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금기.
임신·수유
- 임신: 가급적 회피. 대체요법이 없고 산모 이익이 위험을 상회할 때만 고려.
- 수유: 투여 중 및 최소 5일간 수유 중단 권고.
필수 모니터링(장기·고용량 요법)
- 간기능(LFT): 시작 전 및 치료 중 2주 간격.
- 전혈구계산(CBC): 시작 전 및 2주 간격, 감소 시 중단·재시작 여부 판단.
- 신경학적 증상(신경낭미충): 초기 1주간 스테로이드로 뇌압 상승 예방.
약물 상호 작용 요약
- 대사체 농도 ↑: 시메티딘, 프라지콴텔, 덱사메타손, 리토나비르 → 독성 증가 가능.
- 대사체 농도 ↓: 페니토인, 카바마제핀, 페노바르비탈 → 효과 감소 가능.
참고 및 근거 논문
- 기전·약동/약력: StatPearls, DrugBank, 기전 리뷰
- 간독성·경고: 급성 약물유발 간염 증례, 제조사(제품설명서), Mayo Clinic
- 용량–반응(구충): 무작위 용량-탐색 임상 및 관련 보고
- STH 효과 차이: 체계적 검토·리뷰
- 사상충증 비교 임상(30일): PLOS NTDs 2025
- 신경낭미충·포충 가이드: Medscape/제조사 자료
임상 적용 시, 감염 종과 감염 강도, 지역 내 내성·공감염, 환자 간질환 유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용량과 치료 기간을 개별화하고, 장기 고용량 치료 시에는 간기능·혈액학적 모니터링을 엄격히 수행해야 한다.
친구초대
![?php echo $story_item['post_title']; ? src=](https://sakuraherbs.com/wp-content/smush-webp/2025/11/ChatGPT-Image-2025년-11월-3일-오후-01_10_16-768x768.png.webp)
![?php echo $story_item['post_title']; ? src=](https://sakuraherbs.com/wp-content/smush-webp/2025/10/ChatGPT-Image-2025년-10월-24일-오후-06_09_00-768x768.png.webp)
![?php echo $story_item['post_title']; ? src=](https://sakuraherbs.com/wp-content/smush-webp/2025/10/091ab270-136b-430b-a4ba-2b5ea42bba27-768x768.png.we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