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cetirizine

세티리진은 2세대 선택적 H1 항히스타민제로, 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두드러기, 아토피 피부염 등 다양한 알레르기 질환에 널리 사용됩니다. 기존 1세대 항히스타민제에 비해 중추신경계 침투가 적고 졸림 등 부작용이 현저히 감소한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세티리진은 히스타민 H1 수용체에 대해 높은 선택성을 보이며, 조직 침윤을 줄이고 기관지 수축, 혈관 투과성 증가 등 히스타민 작용을 효과적으로 차단합니다.

  • 약동학: 경구 투여 후 1시간 이내에 최대 혈중 농도에 도달, 효과는 20~60분 내 시작되어 24시간 이상 지속
  • 대사/배설: CYP450 대사관여 적고, 주로 신장으로 배설
  • 중추 영향: 치료용량에서는 졸림 등 CNS 부작용 드물고, 주의력이나 운동능력 저하 매우 적음

효능 및 작용 기전

임상 질환별 치료 효과

임상연구에 따르면 세티리진은 알레르기 비염, 만성 두드러기,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결막염*등 모든 주요 알레르기질환에서 치료반응률(79~59%)이 위약(37~47%)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습니다.


증상 점수, 질환별 삽화 빈도, 삶의 질지수 모두 뚜렷한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효과 지속 시간도 24시간 이상으로 하루 1회 투여만으로 충분합니다.


질환별 주요 임상효과
  • 알레르기 비염: 비충혈, 콧물, 재채기, 가려움, 눈물 등 증상 개선
  • 만성 두드러기: 팽진, 발적, 가려움 등에서 반응률 72%
  • 아토피 피부염/결막염: 소양감 및 피부증상, 결막충혈 개선률 높음

세티리진 효과

복용대상

  • 성인/청소년(12세 이상): 10mg 1일 1회
  • 소아(6~12세): 5mg 1일 2회 (10mg/일)
  • 소아(2~6세): 2.5mg 1일 2회 (5mg/일)
  • 고령자: 신기능 정상 시 성인과 동일, 신기능 저하 시 용량 1/2
  • 신/간부전: 5mg 1일 1회(중등도), 투석환자(말기)에는 금기


적응증(권고)
  • 알레르기성 비염(계절성 및 통년성)
  •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가려움, 발진 등)
  • 기타 소양 증상 완화 등

부작용

세티리진과 대조군의 주요 부작용 비교 -가장 흔한 부작용: 졸림(8%), 두통(5%), 입마름(4%), 소화기계 증상, 피로/현기증, 불면 또는 흥분, 발진 등

  • 중증 부작용: 두드러기 및 아나필락시스 등 과민 반응(매우 드물게 보고), 호흡 곤란/기관지 경련, 이상행동, 착란(고령자)
  • 장기복용 안전성: 소아·고령자에서 장기투여 시 인지, 행동, 성장에 악영향 없음이 확인
세티리진 부작용

용법

  • 식사와 무관하게 복용 가능
  • 1일 1회 또는 분할(소아)로 증상 조절
  • 중증 신·간기능 장애: 권고 용량의 1/2
  • 최대 용량: 성인/청소년 10mg, 소아(2~6세) 5mg/일


연령대 권고 1회 용량 최대 용량 특이사항
성인/청소년 10mg 1일 1회 10mg 식사와 무관
아동(6~12세) 5mg 1일 2회 10mg 분할 복용
아동(2~6세) 2.5mg 1일 2회 5mg 분할 복용
노인 10mg 1일 1회(조절) 10mg 신기능 따라 용량 감소
신부전 5mg 1일 1회 5mg 권고 용량의 1/2
간부전 5mg 1일 1회 5mg 권고 용량의 1/2

주의사항

  • 절대금기: 성분(세티리진·유사물질) 과민 반응
  • 상대금기: 중증 신,간부전 (용량 감소)
  • 중추억제제/알코올 병용 시 졸림, 어지러움 ↑
  • 다른 항히스타민제와 중복 복용 자제
  • 임신: FDA B 등급, 필수 시만 사용 (모유로 일부 분비)
  • 고령자: 중추억제, 부정맥 위험 주의
  • 알코올·진정제 병용시 주의

세티리진은 빠른 발현, 하루 1회 복용, 낮은 졸림으로 널리 쓰이는 항히스타민제로, 알레르기 질환에서 안전성과 만족도가 매우 높으며, 장기 사용 시에도 추적관리만 잘 하면 부작용 위험이 높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