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Cabergoline
카베르골린은 에르고트 유도체 도파민 수용체 작용제로서 분자식 C₂₆H₃₇N₅O₂를 가진 합성 약물입니다. 1993년 미국 FDA에서 고프로락틴혈증 치료제로 승인받았으며, 상품명 Dostinex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작용기전은 카베르골린이 뇌하수체 전엽의 유즙분비세포(lactotroph)에 있는 D2-도파민 수용체를 직접 자극하여 프로락틴 분비를 억제하는 것입니다. 이 약물은 매우 높은 도파민 D2 수용체 선택성과 친화성을 보이며, 다른 뇌하수체 호르몬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약물동태학적 특성:
- 반감기: 63-69시간으로 매우 길어 주 1-2회 복용 가능
- 최대 혈중농도: 복용 후 2-3시간에 도달
- 프로락틴 억제 효과: 복용 후 3시간 이내 시작되어 7-28일간 지속
- 뇌하수체 조직 분포: 혈중 농도보다 100배 이상 높은 농도로 분포하여 약 60시간 동안 유지
효능 및 작용 기전
종양 유형별 치료 효과
프로락틴 정상화율: 455명의 대규모 연구에서 전체 환자의 86%가 프로락틴 정상화를 달성했습니다.
- 특발성 고프로락틴혈증 및 미세프로락티노마: 92% 정상화율
- 거대프로락티노마: 77% 정상화율
- 침습적 거대프로락티노마: 50% 정상화율
종양 축소 효과: 프로락티노마 환자의 67%에서 종양 축소가 관찰되었으며, 평균 축소율은 85%에 달했습니다. 침습적 거대프로락티노마에서도 평균 86%의 종양 축소를 보였습니다.
시간별 치료 반응
카베르골린 치료의 시간별 반응률 변화 신속한 효과 발현: 카베르골린은 복용 후 3시간 이내에 프로락틴 감소 효과가 시작됩니다.
- 3시간: 프로락틴 50% 감소, 증상 20% 개선
- 1개월: 프로락틴 85% 감소, 종양 35% 축소
- 12개월: 프로락틴 95% 감소, 종양 85% 축소, 증상 93% 개선
브로모크립틴과의 비교: 카베르골린 0.6mg 단회투여는 브로모크립틴 2.5mg과 유사한 최대 프로락틴 감소 효과를 보이지만, 지속시간이 14일 vs 24시간로 현저히 길었습니다.
특수 상황에서의 효과 브로모크립틴 불내성/저항성 환자:
- 브로모크립틴 불내성 환자의 84%에서 프로락틴 정상화
- 브로모크립틴 저항성 환자의 70%에서 프로락틴 정상화 시야결손 개선: 치료 전 시야결손이 있던 환자의 70%에서 시야가 정상화되었습니다.

복용대상
주요 적응증
FDA 승인 적응증:
- 고프로락틴혈증: 특발성 또는 뇌하수체 선종에 의한
- 프로락티노마: 미세선종 및 거대선종 모두 포함
- 산후 유즙분비 억제: 의학적 이유로 수유를 중단해야 하는 경우
연령별 대상
성인: 제한 없이 사용 가능 고령자: 간기능이나 신기능에 따라 저용량부터 시작 소아: 소아에서의 안전성과 효과는 확립되지 않음
특수 환자군
임신 관련 사용: 카베르골린의 임신 중 안전성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1,662명의 임신 노출 사례를 분석한 체계적 문헌 고찰 결과:
- 주요 기형 발생률: 1.9% (일반 인구 2-3%와 유사)
- 자연유산률: 9.2% (일반 인구 10-15%와 유사)
- 조산률: 8.8% (일반 인구 8-12%와 유사)
103명의 임신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 96.9%가 임신 1삼분기에 노출
- 주요 기형 1례 (다운증후군), 경미한 기형 2례 (탯줄 및 서혜부 탈장)
- 25명이 건강한 아이를 출산
파킨슨병 환자: 카베르골린은 파킨슨병 치료에도 사용되며, 1년간 단독요법으로 환자의 79%에서 임상적 개선을 보였습니다.
부작용
일반적인 부작용
카베르골린 vs 브로모크립틴 부작용 발생률 비교 흔한 부작용 (1-10%): 카베르골린은 브로모크립틴에 비해 현저히 적은 부작용을 보입니다:
- 오심: 카베르골린 27% vs 브로모크립틴 50%
- 어지러움: 15% vs 42%
- 두통: 26% vs 20%
- 기립성 저혈압: 9% vs 30%
4주 위약 대조 임상시험 결과:
- 오심: 27% (위약 20%)
- 두통: 26% (위약 25%)
- 어지러움: 15% (위약 5%)
- 피로감: 7%
- 변비: 10%
심각한 부작용
심혈관계 부작용:
- 판막질환: 에르고트 계열 약물의 특징적 부작용으로 심초음파 모니터링 필요
- 기립성 저혈압: 1mg 초과 시작 용량에서 발생 위험 증가
정신신경학적 부작용:
- 충동조절장애: 병적 도박, 강박적 쇼핑, 과식, 과성욕 등
- 환각: 고용량 사용 시 (파킨슨병 치료 용량)
- 갑작스런 수면: 일상 활동 중 예고 없이 발생
드문 부작용:
- 폐, 심막, 후복막 섬유증: 장기간 고용량 사용 시
- 뇌척수액 비루: 매우 드물지만 보고됨
산후 사용 시 안전성
산후 유즙분비 억제 목적 연구에서:
- 부작용 발생률: 0-28% (연구별 차이)
- 대부분 경증이며 3-4일 내 자연 소실
- 브로모크립틴 대비 현저히 적은 부작용

용법
표준 용법
성인 표준 용량: 주 0.25mg 2회 분할 투여로 시작
용량 조절법:
- 4주마다 주 0.25mg씩 점진적 증량
- 최대 용량: 주 1mg 2회 (총 주 2mg)
- 목표: 프로락틴 정상화를 위한 최소 유효 용량 유지
특수 상황에서의 용법
간기능 장애: 중증 간질환에서는 금기, 경증-중등도에서는 신중 사용 신기능 장애: 용량 조절 불필요 임신 계획 시:
- 임신 계획 1개월 전 중단 권장
- 긴 반감기(최대 69시간)를 고려한 조치 치료 중단: 6개월간 프로락틴 정상 수치 유지 후 중단을 고려하고 추적 관찰
투여 방법
카베르골린 용량별 효과와 부작용의 관계 복용 시기: 음식과 함께 복용하여 위장관 부작용 감소 투여 빈도: 주 1-2회 투여로 충분 (긴 반감기로 인해)
용량별 효과:
- 0.25mg/주: 65% 프로락틴 정상화율
- 0.5mg/주: 80% 프로락틴 정상화율
- 1.0mg/주: 86% 프로락틴 정상화율
- 2.0mg/주: 90% 프로락틴 정상화율

주의사항
절대 금기사항
-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 심장 판막질환: 치료 전 심초음파로 확인 필요
- 폐, 심막, 후복막 섬유증 병력
- 에르고트 유도체 과민반응
약물 상호작용
- 도파민 길항제: 페노티아진계, 부티로페논계 약물과 병용 시 효과 감소
- 마크로라이드 항생제: 에리스로마이신 등과 병용 시 카베르골린 농도 상승
- 다른 에르고트 계열: 병용 사용 권장하지 않음
특별 모니터링
치료 전 검사:
- 심초음파: 판막질환 배제
- 흉부 X선: 폐섬유증 배제
- 임신 테스트: 가임기 여성
치료 중 모니터링:
- 프로락틴 수치**: 월 단위 추적
- 심초음파: 정기적 시행 (특히 장기 치료 시)
- 충동 조절 장애 평가: 환자 및 가족 교육
임신 및 수유:
- 임신: 최근 연구에서 안전성 확인되었으나 계획 임신 시 1개월 전 중단 권장
- 수유: 유즙분비 억제 효과로 수유 불가
카베르골린은 높은 효과와 우수한 내약성으로 고프로락틴혈증의 1차 치료제로 자리잡았습니다. 특히 주 1-2회 복용의 편의성과 브로모크립틴 대비 적은 부작용으로 환자 순응도가 높으며, 적절한 모니터링 하에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