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Apremilast

아프레밀라스트(Apremilast)는 포스포디에스터라제 4(PDE4) 선택적 억제제로, 세포 내 염증 매개체를 조절하는 경구용 약물입니다.

주요 특징:

  • 작용기전: PDE4 효소를 억제하여 세포 내 cAMP 농도를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TNF-α, IL-23, IL-17 등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키며 IL-10 같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증가시킵니다
  • 약물 분류: 면역조절제, 경구용 항염제
  • 화학구조: C₂₂H₂₄N₂O₇S (분자량: 460.5 g/mol)
  • 반감기: 약 6-9시간으로 1일 2회 복용이 필요합니다.

효능 및 작용 기전

1. 건선(Psoriasis) 치료 효과

ESTEEM 1 연구 (16주 결과):

  • PASI 75 반응률: 아프레밀라스트군 33.1% vs 위약군 5.3% (p<0.0001)
  • sPGA 0/1 반응률: 아프레밀라스트군 21.6% vs 위약군 4.1%
  • 삶의질 개선률: 아프레밀라스트군 73.3% vs 위약군 41.3% 52주 장기 연구 결과:
  • PASI 75 반응률이 61.0%로 유지되었으며, PASI 점수는 기저치 대비 평균 81-88% 개선
  • 두피 건선 환자의 72.9%가 증상 소실 또는 거의 소실 상태 달성
  • 손톱 건선에서 NAPSI 점수 60.2% 개선


2. 건선성 관절염(Psoriatic Arthritis) 치료 효과

PALACE 임상시험 통합 분석:

  • ACR 20 반응률: 16주차에서 아프레밀라스트 30mg BID 투여군이 위약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 관절 증상뿐만 아니라 피부 증상도 동반 개선
  • DMARD 병용 여부와 관계없이 일관된 효과


3. 베체트병에서의 효과

BCT-001 2상 임상시험:

  • 12주차 구강궤양 완전 치유율: 아프레밀라스트군 71% vs 위약군 29% (p<0.0001)
  • 외음부 궤양 완전 개선율: 아프레밀라스트군 100% vs 위약군 50%
  • 구강궤양 통증 개선: 아프레밀라스트군 -44.7점 vs 위약군 -16.0점


4. 기타 연구 중인 효과
  • 알코올 중독 치료: 51명 대상 임상시험에서 음주량 50% 이상 감소 효과 확인
  • 만성 염증성 장질환: 전임상 연구에서 염증 완화 효과 시사

아프레밀리스트 효과

복용대상

  1. 성인 건선:
    • 6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 중증 판상건선 환자 (만 18세 이상)
    • 체표면적(BSA) 10% 이상, PASI 10 이상
    • MTX 또는 Cyclosporine 치료 실패 또는 부작용으로 중단한 경우
  2. 건선성 관절염:
    • 2종류 이상의 DMARDs로 총 6개월 이상 치료했으나 효과 미흡한 경우
    • 3개 이상의 압통 관절과 3개 이상의 부종 관절 존재
  3. 베체트병: 반복적인 구강궤양이 있는 환자 (연구 단계)


치료 대상 환자
  • 광선치료 및 전신치료 대상 중등도-중증 판상건선 환자
  • 생물학적 제제에 부작용이 있거나 주사제 사용이 어려운 환자
  • 복약 순응도 개선이 필요한 환자
  • 고령 환자: 신장애나 간장애가 없다면 용량 조정 없이 사용 가능

부작용

아프레밀라스트의 주요 부작용 발생률


흔한 부작용 (2% 이상)
  • 오심(8.9%): 가장 흔한 부작용, 대부분 경미하며 치료 초기에 발생
  • 설사(7.7%): 보통 경증-중등도이며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
  • 두통(5.9%): 일반적으로 일시적
  • 상기도 감염(3.9%): 감기 유사 증상


기타 부작용
  • 구토(3.2%), 비인두염(2.6%), 상복부 통증(2.0%)
  • 체중 감소: 환자의 10%에서 5-10% 체중 감소 보고
  • 우울증: 1.0%에서 우울증 또는 우울감 발생, 0.2%에서 자살사고 보고


장기 사용 시 주의사항
  • 52주 장기 연구에서 새로운 안전성 신호는 발견되지 않음
  • 설사와 오심으로 인한 중단율은 각각 2% 이하
  • 심각한 부작용 발생률은 위약군과 유사한 수준
아프레밀리스트 부작용

용법

적응증 초기 용량 조절 (1-5일) 유지 용량 특이사항
건선, 건선성 관절염 1일차: 10mg (아침)2일차: 10mg BID3일차: 10mg (아침), 20mg (저녁)4일차: 20mg BID5일차: 20mg (아침), 30mg (저녁) 30mg BID 음식과 무관하게 복용
베체트병 동일한 용량 조절 30mg BID 연구 단계
  • 용량 조절 기간: 초기 5일간 점진적 증량하여 위장관 부작용 최소화
  • 복용 시간: 약 12시간 간격으로 아침, 저녁 복용
  • 식사 관계: 음식과 함께 또는 공복에 복용 가능 (생체이용률 변화 없음)
  • 정제 복용법: 부수거나 씹지 말고 통째로 삼킴


특수 환자군
  • 신장애 환자: 중증 신기능 장애(CrCl ≤30 mL/min) 시 30mg 1일 1회로 감량
  • 간장애 환자: 경증-중등도에서는 용량 조정 불필요, 중증 간장애는 사용 금지
  • 고령자: 특별한 용량 조정 불필요

주의사항

절대 금기
  1. 아프레밀라스트 또는 첨가제에 과민 반응 병력이 있는 환자
  2. 중증 간기능 장애 환자
  3. 임신 및 수유부: 임신 안전성 등급 C, 태아에 대한 잠재적 위험


상대적 금기 및 주의사항
  • 우울증 병력: 우울증 악화 또는 자살사고 위험 증가 가능성
  • 체중 감소 위험: 정기적인 체중 모니터링 필요, 설명할 수 없는 체중 감소 시 중단 고려
  • 중증 신기능 장애: 크레아티닌 청소율 30mL/min 이하에서 용량 감량 필요


약물 상호작용
  • CYP450 유도제: 리팜핀, 페노바비탈, 카바마제핀, 페니토인과 병용 시 아프레밀라스트 효과 감소
  • 강력한 CYP 유도제와의 병용은 권장되지 않음
  • 대부분의 다른 약물과 임상적으로 유의한 상호작용 없음


모니터링 사항
  • 정신과적 증상: 우울증, 기분 변화, 자살사고에 대한 정기적 평가
  • 체중 변화: 정기적인 체중 측정 및 기록
  • 위장관 증상: 초기 치료 시 설사, 오심 등의 발생 및 지속성 관찰
  • 감염 징후: 면역조절 효과로 인한 감염 위험 모니터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