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Isotretinoin
이소트레티노인(Isotretinoin)은 비타민 A 유도체(레티노이드) 계열의 약물로, 올트랜스 레티노산(All-trans retinoic acid, ATRA)이라고도 불립니다. 합성 비타민 A 유도체의 일종으로, 분자식은 C₂₀H₂₈O₂이며 분자량은 300.442 g/mol입니다.
트레티노인은 1970년대 초 미국 FDA에서 여드름 치료제로 최초 승인받은 후, 1980년대에 광노화 치료 효과가 밝혀지면서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목적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외용제(크림, 겔)는 피부 기능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수용체와 상호작용을 통해 피지의 과다 분비를 조절하고, 이상 증식된 각질에 작용하여 면포를 제거하므로 여드름 치료에 사용됩니다.
효능 및 작용 기전
여드름 치료 효과
이소트레티노인은 비정상적인 모낭상피분화와 상피탈락을 정상화시키는 작용이 있어 면포여드름에 효과적이며, 치료 및 예방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임상연구에서 트레티노인은 여드름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약물 중 하나로 확인되었습니다. 중등도에서 중증 여드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트레티노인 복합 제제는 12주차에 38.5%의 IGA(연구자전반적평가) 반응률을 보인 반면, 위약군은 11.5%에 그쳤습니다. 또한 염증 병변 수 및 비염증 병변 수가 위약군보다 더 크게 감소했습니다.
주름 개선 및 광노화 치료 효과
이소트레티노인은 FDA에서 승인받은 최초의 주름 치료제입니다.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분해를 억제하는 이중 작용을 통해 피부 주름을 완화합니다. 204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에서 0.05% 트레티노인 크림을 지속적으로 바른 피실험자들은 1개월 후 거칠고 굵은 주름이 유의하게 완화되었고, 2개월 후 미세 주름이 감소했으며, 4개월 후 색소침착, 혈색, 검버섯이 유의하게 줄어들었습니다. 24개월간의 장기 연구에서도 지속적인 임상적 개선과 프로콜라겐 형성 증가가 확인되었습니다. 트레티노인은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고 분해를 감소시키며, 엘라스틴과 피브릴린을 증가시켜 표피를 두꺼워지게 하고, 표피의 멜라닌 함량을 감소시킵니다.
기타 효과
이소트레티노인은 새로운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피부의 혈관 생성을 자극하며, 노화에 의한 반점 및 광선각화증(actinic keratosis)라 불리는 전암 상태의 피부 반점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막을 수 있습니다.

복용대상
주요 적응증
- 심상성 여드름 환자: 보통 여드름(acne vulgaris) 치료를 위한 1차 선택 약물입니다.
- 광노화 증상 환자: 미세주름, 색소침착, 거친 피부 완화를 원하는 환자들
- 색소침착 개선: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의 색소 침착 개선이 필요한 환자들
적응 환자군
- 청소년 및 성인: 주로 여드름 치료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중년층: 주름 및 노화 방지, 색소침착 개선을 원하는 환자들
- 광손상 피부 환자: 장기간 자외선 노출로 인한 피부 손상을 개선하고자 하는 환자들
특수 적응증
융합성 망상 유두종증(CRP) 환자에서 0.025% 트레티노인 크림 치료 시 9명 중 6명에서 완전 관해를 보였으며, 평균 6.2주 후 현저한 개선이 나타났습니다.
부작용
임상시험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적용부위 홍반
- 피부 박리
- 피부 통증
- 적용부위 가려움
- 피부 자극
- 피부 압통
- 피부 작열감
- 적용부위 따가움
- 피부 건조
부작용의 특성
이소트레티노인 사용 시 나타나는 피부 반응은 "레티노이드 반응" 또는 "레티노이드 피부염"이라고 불립니다. 이러한 부작용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발생 시기: 치료 한 달째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그 이후로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속 기간: 일시적이지만 많은 환자에서 나타나는 피부 반응입니다.
- 농도와의 관계: 0.025%와 0.1% 트레티노인이 동등하게 효능이 있지만, 0.025%가 0.1%보다 훨씬 자극이 적습니다.
드물게 발생하는 부작용
시판 후 조사에서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었습니다.
- 피부과색소침착증
- 피부색소침착저하
- 광과민성반응
- 적용부위발진
- 적용부위부종/부어오름
- 알레르기반응
- 피부위축
부작용 관리법
강한 피부자극감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간격을 늘이거나 제제의 농도를 조절합니다. 중증 또는 지속적인 자극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용법
기본 사용법
- 적용 횟수: 1일 1회(취침 시) 또는 2회 적당량을 환부에 바릅니다.
- 적용량: 작은 완두콩 크기 정도를 얼굴 전체에 펴서 바릅니다.
- 민감한 피부: 1일 1회 또는 이틀에 한 번씩 적용하며,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합니다.
농도별 사용 지침
- 이소트레티노인 0.01%: 심상성 여드름과 미세주름 완화에 효과적
- 이소트레티노인 0.025%: 심상성 여드름, 미세주름 및 색소침착 개선
- 이소트레티노인 0.05%: 심상성 여드름, 미세주름, 색소침착, 거친 피부 완화
- 이소트레티노인 0.1%: 심상성 여드름 및 미세주름 치료
치료 기간 및 효과 발현
- 미세주름: 제품 사용 3개월 가량이 지나면 대부분 감소합니다.
- 전반적인 피부 개선: 9~12개월 후에 나타납니다.
- 주름 개선: 3~6개월 가량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최상의 효과는 6~12개월 사용 후 나타납니다.
사용법 주의사항
- 레티노이드는 빛에 의해 잘 분해되므로 아침보다는 저녁이나 밤에 바르도록 합니다.
- 화장품을 사용할 수는 있으나, 트레티노인을 투여하기 전에 환부를 완전히 씻어야 합니다.
- 수렴용 화장품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주의사항
다음과 같은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이소트레티노인 및 성분에 과민증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 피부 상피종 및 그 병력 또는 가족력이 있는 환자
- 습진, 절상, 찰과상 환자
- 태양광선에 탄 환자 (감수성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사용 금지)
- 임부 또는 임신 가능성이 있는 부인 및 수유부
- 급성 피부염 및 주사(rosacea) 환자
임신 관련 주의사항
레티노이드계 의약품은 태아에게 심각한 기형을 유발할 수 있어 임부 사용을 금지하고 복용 중에는 절대로 임신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그러나 외용제 트레티노인의 경우 먹는 형태와 달리 전신 흡수가 제한적이며, 국소 도포로 인한 태아 사망이나 선천 기형 발생 보고는 없습니다. 이소트레티노인 성분 자체는 자연적으로 피부에서도 생성되는 물질이라 아주 소량 노출이 태아 기형을 유발한다는 것은 식품에 있는 소량의 비타민 A 정도로 안전한 수준입니다.
광과민성 주의사항
이소트레티노인은 태양광선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 태양광선 노출 최소화: 인공자외선램프를 포함한 태양광선 노출을 가능한 한 피합니다.
- 자외선 차단제 사용: 강한 광선에 노출이 불가피할 경우, 광범위 자외선차단제품(UVA 및 UVB 광선으로부터 보호)을 사용합니다.
- 노출 전후 사용 중지: 햇빛에 노출되기 전날, 당일, 그 다음 날에는 트레티노인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 권장됩니다.
장기 사용 안전성
바르는 이소트레티노인인 스티바A는 4년까지 장기 사용 안전성이 확보된 약물입니다. 계속 바른 후 현미경으로 살펴봐도 피부세포에 나쁜 변화(암세포 등)가 없었습니다. 바르는 이소트레티노인의 초기 반응은 피부 장벽이 촉촉해지다가(3-6개월) 피부진피층의 콜라겐이 증가하면서(12-24개월) 표피의 뮤신이 증가하는(24-48개월)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피부가 탄탄해지고 촉촉해집니다.
약물 상호작용
의약정보센터에 의하면, 독시사이클린과 트레티노인은 함께 사용 시 독성을 유발한다고 명시되어 있어 두 의약품의 병용은 삼가해야 합니다.
기타 주의사항
- 극한 날씨: 바람이나 추위, 낮은 습도 등 극한 날씨가 자극이 될 수 있으며 건조감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화학적 자극: 헤어퍼머액, 왁스제제, 의료용 비누 및 샴푸는 때때로 정상 피부를 자극할 수 있으므로 트레티노인을 적용하는 환부에 닿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털 제거: 피부자극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트레티노인을 적용하기 전날 밤에는 털을 제거하지 않습니다.
동일성분 의약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