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Metformin
메트포르민(Metformin)은 비구아니드(biguanide) 계열의 경구용 혈당강하제로, 전 세계적으로 제2형 당뇨병 치료의 1차 약제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물입니다. 1920년대 유럽에서 개발되었으나 인슐린 발견으로 관심이 줄었다가, 1950년대 이후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메트포르민은 인슐린 분비를 직접적으로 자극하지 않고, 주로 간에서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며, 말초 조직(근육, 지방 등)에서 인슐린 감수성을 높이고, 장에서 포도당 흡수를 일부 감소시켜 혈당을 낮춥니다.정확한 작용 기전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AMPK 활성화, 미토콘드리아 호흡 억제, 장내 세균총 변화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메트포르민은 60년 이상의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제2형 당뇨병 치료의 표준 약제로 자리잡은 약물입니다. 혈당 조절 효과뿐만 아니라 체중 감소, 심혈관질환 예방, 암 발생 지연 등 다양한 부가적 효과가 임상적으로 입증되었습니다.
메트포르민은 효과적이고 안전하며 경제적인 당뇨병 치료제로, 적절한 환자 선별과 모니터링 하에 사용할 때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다양한 임상적 이익을 제공하는 중요한 치료 옵션입니다.
효능 및 작용 기전
혈당 조절 효과
메트포르민은 단독 또는 병용요법에서 당화혈색소(HbA1c)를 평균 1~1.5%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간에서 포도당 신생합성을 억제하는 주효과로 공복 혈당을 주로 낮추며, 말초조직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해 혈당 조절을 돕습니다. 일반적으로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정상인보다 3배 정도 많이 포도당을 생산하는데, 메트포르민 요법은 과다한 포도당 생산을 1/3 정도로 낮춰 정상 수준이 되게 합니다.
체중 조절 및 대사 개선
메트포르민은 체중 증가를 유발하지 않고, 오히려 1~3kg의 체중 감소 효과가 있습니다. 미국 DPP(Diabetes Prevention Program) 연구에서 1년간 메트포르민 투약군의 8.9%가 5% 이상 체중감량을 달성했고, 15년까지 장기적으로 체중감소 효과가 유지되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메트포르민이 격렬한 운동 후 생성되는 'Lac-phe' 분자를 생성해 식욕을 억제하고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는 기전이 밝혀졌습니다.
심혈관 질환 예방 및 보호 효과
SAVOR-TIMI 53 연구의 사후분석과 25개 연구의 메타분석(총 815,639명)에서 메트포르민은 심혈관 사망 위험을 32%,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을 25% 감소시켰습니다. 특히 심부전이나 중등도 이상의 만성 신질환이 없는 환자에서 더욱 뚜렷한 효과를 보였습니다.
당뇨병 예방 효과
내당능장애(IGT) 환자에서 3년간 메트포르민 투여 시 당뇨 발생률이 31% 감소했습니다. 15년 장기 추적에서도 메트포르민은 위약 대비 당뇨병 발생 위험을 혈당기준 17%, 당화혈색소 기준 36% 감소시켰습니다.
암 발생 억제 효과
국내외 대규모 코호트 연구에서 메트포르민 복용군은 비복용군 대비 암 발생 위험이 11~14% 낮았으며, 암 발생까지의 기간도 평균 320일 더 늦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50세 이상에서는 갑상선암, 위암, 대장암, 간암 모두에서 위험도가 감소했습니다.

복용대상
- 제2형 당뇨병 환자: 식이·운동요법만으로 혈당 조절이 충분치 않은 성인 및 10세 이상 소아·청소년
- 체중 또는 비만 환자: 체중 증가 위험이 적어 우선적으로 권고됩니다.
- 내당능장애(IGT), 공복혈당장애(IFG) 환자: 당뇨병 예방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인슐린 저항성 개선 및 배란 유도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심혈관질환 고위험군: 심혈관 보호 효과가 입증되어 권장됩니다.
- 대사증후군 환자: 다양한 대사 지표 개선 효과가 있습니다.
- 당뇨병 예방 고위험군: 특히 BMI ≥35 kg/m², 60세 미만, 임신성 당뇨병 병력이 있는 여성에게 권장됩니다.
부작용
위장관계 부작용 (가장 흔함)
- 설사: 10~53%
- 오심/구토: 7~26%
- 복부팽만: 4~12%
- 소화불량, 복통: 흔하게 발생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메트포르민 속방형 제제를 복용했던 환자의 41.7%가 위장관계 부작용을 경험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기타 부작용
- 비타민 B12 결핍: 장기 복용 시 7~19% 발생
- 저혈당: 단독 사용 시 드물고, 인슐린·설포닐우레아 병용 시 주의
- 유산산증(젖산산증): 매우 드물지만 치명적(10만 명당 3명)
부작용의 특성과 대처법
위장관 부작용은 특히 첫 복용하는 경우 한 달 안에 많이 나타나며, 세로토닌 수송체가 메트포르민과 세로토닌을 구분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은 다음과 같이 대처할 수 있습니다.
- 저용량에서 시작하여 점진적 증량
- 식사와 함께 복용
- 서방정 사용 고려
용법
성인 용법
- 시작용량: 1회 500mg, 1일 2~3회 식사와 함께 복용
- 최대용량: 1일 2550mg (2~3회 분할 복용)
- 용량 조절: 위장관계 부작용 최소화를 위해 저용량에서 시작, 점진적으로 증량
- 복용법: 1일 2000mg 이하는 1일 2회(아침, 저녁), 2000mg 초과는 1일 3회 분할
소아·청소년 용법 (10세 이상)
- 시작용량: 1일 1회 500mg
- 최대용량: 1일 2000mg (2~3회 분할 복용)
- 용량 조절: 일주일 후 혈당 수치 측정하여 용량 조절
서방정(ER) 용법
- 용법: 1일 1회 저녁식사와 함께 500mg로 시작, 1주 간격으로 500mg씩 증량, 최대 2000mg
신장애 환자 용법
- 경증-중등도 신장애(eGFR 45-60mL/min/1.73m²): 시작용량 1일 1회 500mg 또는 850mg, 최대 1000mg을 2회 분할
- 중등도-중증 신장애(eGFR 30-45mL/min/1.73m²): 주의하여 사용, 용량 감소 고려
- 중증 신장애(eGFR <30mL/min/1.73m²: 금기
주의사항
절대 금기사항
- 중증 신장애
- 중증 간질환, 간기능부전
- 급성 심근경색, 패혈증, 쇼크등 신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급성 상태
- 급성 및 불안정형 심부전
- 제1형 당뇨병, 당뇨병성 케톤산증
- 중증 감염, 탈수, 저산소혈증
유산산증 위험 관리
메트포르민의 가장 심각한 부작용인 유산산증은 매우 드물지만(10만 명당 3명)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들은 경증-중등도 만성신장질환 환자에서도 메트포르민이 다른 당뇨약제에 비해 젖산산증을 높이지 않는다는 결과를 보고했습니다.
비타민 B12 결핍 모니터링
장기 복용 시 비타민 B12 결핍이 발생할 수 있으며(7~19%), 이는 말초신경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 복용 환자는 정기적인 비타민 B12 수치 검사가 필요합니다.
조영제 검사 시 주의 요오드화 조영제를 사용한 CT 등의 검사 시 급성 신부전 위험이 있어, 검사 48시간 전에 중단하고 48시간 후 신기능을 재평가한 후 재개해야 합니다.
정기적 모니터링
- 신기능: 3-6개월마다 eGFR 및 혈청 크레아티닌 검사
- 간기능: 정기적 간기능 검사
- 비타민 B12: 장기 복용 시 정기적 검사
- 혈당: 공복혈당 및 당화혈색소 정기 모니터링
동일성분 의약품






